규방 부인 정탐기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1
정명섭 지음 / 언더라인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을 보자마자 아무래도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러므로, 저번에 '장르소설이 이제 좀 물린다'고 했던 말을 철회해야 할 것 같다. 왜냐 하면, 이 책을 홀린 듯 읽고 분량이 짧아 아쉬워했기 때문이다. 일명 "많이 아프냐, 나도 아프냐"라는 대사가 유명한 드라마 <다모>의 주인공이 제목 그대로 '다모'라는 직업(?)을 가지고 있었는데 <규방 부인 정탐기>의 주인공 박순애 또한 다모다. 다모란 조선 시대의 여자 형사, 라고만 알고 있었는데 이 글을 쓰기 위해 검색해 보니까 茶母, 말 그대로 관아에서 식사나 차를 끓이고 대접하던 관비였다고 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 포도청 산하에서 운영되어 사대부를 은밀히 내사하고 필요하면 체포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주로 유교 윤리적인 이유로 남자들이 접근하기 곤란한 곳(여자들이 있는 규방 등)에 투입하였다. 다만 확실한 것은 숙종대이고 그 이전에는 포도청 소속으로의 기록이 없다. 수사를 담당했다는 기록은 조선후기 이후이고, 조선 전기때는 의녀가 사대부 집안의 수색, 여성 관련 사건 등에 동원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출처: 나무위키)





목차에서 알 수 있듯, 조선 시대의 부녀자들에게 벌어진 두 가지 사건을 소재로 삼고 있다. 첫 번째 사건은 부안 현감의 아내가 된 새신부가 쥐도 새도 모르게 사라져 버린 일이다. 두 번째 사건은 잔혹하게 살해된 며느리의 죽음이다. 두 가지의 사건 모두 여성이 피해자이기 때문에 다모 박순애가 투입되고, 박순애는 전임 다모의 추천으로 알게 된 김금원의 삼호정 시회에서 도움을 받는다. 결국, 여성이 죽고 그것을 파헤치고 해결하는 것도 전부 여성인 셈이다.

'사라진 신부' 파트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부분은 초반부인데, 박순애가 사라진 신부를 찾기 위해 이름을 물을 때 그 누구도 명확히 아는 사람이 없다. 여자의 이름을 알아서 뭐 하냐는 둥, 들은 것 같긴 한데 잊어버렸다, 몸종에게 물어보라, 라는 대답을 듣는다. 지금도 여성 혐오는 이어지지만 특히 조선시대에는 극심한 유교 사상으로 인해 여성들이 자신의 이름조차 없는 경우가 많았다던데, 그 말이 떠올라 조금 슬펐다. 모든 사건의 전말이 밝혀지고 나서도 심란함이 가시지 않았다. 지금 일어나는 사건들을 보면서도 비슷한 감정을 느낀다. 남의 일 같지 않고, 운이 좋아서 살아 남은 것 같고, 변할 수 있을까 의구심이 드는 식의 굴레가 매번 반복된다. 그리고 그 생각은 먼 옛날의 그들도 했다는 것이 참 반가우면서도 씁쓸한 부분이다.

무엇보다도 작가가 남성이라는 점이 독특한 책이다. 남성 작가가 무려 조선 시대의 부녀자들의 이야기를? 신선하다. 여성들이 피해자인 사건을 다룰 때 남성 작가의 경우 어딘가 불쾌한 시선일 때가 있는데 이 책은 그런 부분에서도 불편하지 않았다. 그래서 앉은 자리에서 몇 시간만에 후루룩 읽고는 다모 박순애의 이야기가 더 이어지기를 바랐다.

이 책은 고구마를 먹이는 결론을 내지는 않는다. 오히려 속시원하다. 그럼에도 일련의 사건들에 대해서, 단순히 가해자를 잔혹하리만치 벌을 주는 것이 정의인가(물론 범죄자 인권을 생각해서 하는 말은 아니다. 당연히 엄하고 가혹한 벌을 줘야 한다. 현재는 너무 솜방망이 처벌이 많아 더욱 강력범죄들이 판치고 있으니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가해자에 대해 철저하고 체계적인 벌을 줌과 동시에 피해자를 보호할 수 있어야 하는 법은, 정말 환상 속의 동물 같은 존재일까? 부디 가능하길 빈다.

본 포스팅은 리뷰어스 클럽 카페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장르소설 #규방부인정탐기 #정명섭 #언더라인 #조선형사 #조선추리물 #장르소설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