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우연들
김초엽 지음 / 열림원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따금 나는 타인의 책장이 궁금하다. 누군가의 책장은 그 사람의 세계를 완성하고, 또 무너뜨리고, 결국 든든히 받쳐주는 것이니까. 그래서 본인의 책장을 궁금하게 만드는 사람과는 오래오래 시간을 보내게 된다. 서로의 책을 공유하고 싶어지기도 한다. 나에게 누군가와 관계맺는 일은 그러하다.

그래서 글을 쓰는 사람들의 책장은 늘 나에게 호기심의 대상이다. 그들은 뭘 읽고 뭘 먹어서(?) 그렇게 멋진 글을 쓸 수 있는 것일까. 글을 쓰는 일에 왕도는 없다고 했다. 오로지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해야만 좋은 글을 쓸 수 있다고. 글을 쓰는 것으로 평생 직업을 정한 뒤로는 앞서간 사람들의 책장이 역시나 궁금하다.


부끄러운 일이지만 나는 김초엽 작가의 소설을 아직 한 번도 읽어본 적이 없다. 그가 다작을 하는 덕에 이름은 많이 들어 보았지만, 이상하게도 SF 장르에는 마음이 잘 가지 않아서다. 몇 년 전부터 소설만을 깊이 파고들던 편독(?)을 고치고자 마음먹었기 때문에 SF 소설에 종종 도전하고 있지만 아직 그의 소설에는 손을 뻗은 적이 없어서, 그의 책을 한 권이라도 읽었다면 이 책을 읽으며 더 반가웠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러나 그가 지금처럼 작가로 자리잡기까지 그를 쌓아올린 책들과 글을 쓰며 고민했던 흔적을 기록한 책을 읽으며 나는 그의 작품은 물론 그의 세계가 더욱 더 궁금해졌다. 결국 작가들은 자신이 쓰는 글로 세상과 소통하는 것 아니겠는가.

특히 공감이 되었던 건 나 또한 글을 쓰고 싶다는 열망만 가득했던 10대 시절 우연히 방학 숙제로 단편 소설을 완성하게 되면서 나름대로 새로운 세상을 맞이했다는 점이다. 단순히 끄적거리며 습작하던 단계를 지나, 어떻게든 소설을 하나 완성하고 나니 평가를 떠나(평가가 좋지는 못했다.) 글을 태하는 태도와 더 나아가 결심한 것을 밀고 나가는 힘을 배웠다. 그 힘을 더 자주 발휘하며, 그 사이의 간격을 좁혀가며 여기까지 와 있다.

이 책을 덮으며 궁금했던 그의 세계에 매력을 느낌은 물론, 심리적 거리를 더 좁히고 싶다는 마음이 들었다. 그의 책들을 '읽고 싶은 책'에서 '읽는 책' 카테고리로 옮겨놓을 생각이다.

본 포스팅은 리뷰어스 클럽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도서만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에세이 #에세이추천 #김초엽 #책과우연들 #열림원 #김초엽에세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