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스테라
박민규 지음 / 문학동네 / 2005년 6월
평점 :
우리나라에서 90년대 중반에 인기리에 방영됐던 외화 '환상특급' 소설 판 같다. 그때 당시 환상특급은 미스터리한 사건들을 넘어 초자연적인 현상과 과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기묘한 이야기들을 소설집 형식으로 세 네 편씩 묶어서 방영했었다. 가장 기억에 남는 이야기는 '시공간을 만드는 인부들' 이었다. 내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공간을 0.0000001초 뒤의 내가 쓸 공간으로 인부들이 똑같이 만드는 것이다. 가구 위치며, 소품 하나하나, 먼지 위치까지 그대로 만들어 낸다. 바뀐 거라고는 먼지의 위치 뿐 이다. 신선함을 넘어 그 충격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박민규의 '카스테라'가 마치 그러하다. 환상특급을 책으로 읽는 느낌이다. 그런데 어렵다. 같은 장르의 김언수 작가의 캐비닛은 너무 재미있게 흠뻑 빠져서 읽었는데 '카스테라'는 가벼운 마음으로 읽기에는 준비가 필요하다. 이 책을 읽은 많은 사람들의 평이 어렵고 이해가 안 된다 이다. 나 또한 어렵고 이해가 안 되었다. 왜? 이런 허무맹랑한 이야기를 하는 걸까? 무슨 뜻일까? 너무 고차원이다. 많은것을 생각하고 고민하게 만든다. 그렇지만 그냥 이야기로만 읽는다면 흥미롭고 재미있다.
사람들은 바랄 수 없는 현실에서 꿈을 꾸고 기적이 일어나기를 바란다. 내 앞에 있는 현실이 시궁창 같을 때 뭔가 기적이 일어나 이 시궁창에서 벗어나게 해주기를 바란다. 우리가 공상, 판타지 소설과 영화에 빠지는 이유다. '카스테라'를 끝까지 읽은 이유 이기도 하다.
"공상, 판타지 이야기들은 실화가 아닌 허구다. 그런데도 인간의 마음속에 있는 일련의 열망을 채워 준다. 사실주의적 픽션은 결코 그런 열망을 건드리거나 채워 줄 수 없다. 우리 마음 깊은 곳에는 초자연 세계를 경험하려는 갈망, 죽음을 면하려는 갈망, 영원한 사랑을 만나려는 갈망, 늙지 않고 오래오래 살며 창의적 꿈을 실현하려는 갈망, 하늘을 날려는 갈망, 인류 이외의 존재와 소통하려는 갈망, 악을 이기려는 갈망이 있기 때문이다. 좋은 이야기는 잠시나마 이런 갈망을 채워 주고, 미치도록 가려운 곳을 긁어준다". -팀 켈러의 예수 예수 내용 중 -
박민규 작가는 '카스테라' 속 이야기들을 통하여, 우리의 마음속 깊숙이 박여있는 열망을 알아봐 주고 채워준다. 앞이 캄캄하고 세상에 떠밀려 난 자들. 세상에서 인정받지 못한 부류, 비주류들에게 마술을 부린다. 이상하고 기이한 일들을 만들어 준다. 고마워, 너구리야에서의 인턴, 그렇습니까, 기린 입니다에서는 무능력한 아버지를 대신하여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는 실업 고생, 아, 하세요 펠리컨은 취직이 되지 않아 유원지에서 오리 배를 관리하는 공시생, 갑을 고시원 체류기에서는 집안이 망한 대학생. 코리언 스텐더즈에서의 실패한 농촌운동가가 그렇다. 작가는 이런 저렴한 인생들을 보면서 저렴한 심야 전기가 자신의 가슴속으로 흐르는 것을 느껴 이 책을 이렇게 쓸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 문득 연천 이란 이름의 이 유원지가, 그래서 불쌍하게 느껴졌다. ... 심야전기처럼 저렴한 내 청춘이 흐린 전구처럼 못내 밤을 밝히기도 했다."
암담한 현실 속에서 환상과 기적마저 기대하지 못한다면 이번 생은
정말 망한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