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자 잠언록 - 인위적으로 하지 말라 자연히 이루어진다
황천춘 엮음, 이경근 옮김 / 보누스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노자 잠언록
잠언 [箴言] - 가르쳐서 훈계하는 말. ‘시간은 금이다’,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지 마라’ 따위이다. (네이버국어사전)
앞서와 같이 잠언이라는 것은 가르쳐서 훈계하는 말이다. 즉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게 하는 마음속의 기준이 되어 주는 것이 가르침이며 깨달음이다. 인간이 동물과 다른 점은 배움에서 그치지 않고 행함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올바른 행함을 위해서 우리는 어린 나이에서 부터 많은 글들을 통해 배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조금은 생소하지만 춘추전국 시대 초나라의 사람 노자에게서 가르침을 받게 된다. 그것이 바로 도덕경이다.
노자의 도덕경의 핵심은 ‘도는 언제나 무위하면서도 무위함이 아니다’라는 구절로 압축 할 수 있다. 이것은 노자 특유의 역설법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유가의 사서삼경은 도가의 도덕경에 비해 훨씬 복잡다양성을 띄고 있다. 반면에 도가의 도덕경은 무위에 무게 중심을 두고 소박하고 단순한 삶의 방법을 이야기하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어려운 유가의 사서삼경 보다는 훨씬 이해하기 쉽고 실생활에 접하기 쉬운 것이 도가의 도덕경이다.
중국인 황천춘이 편저한 노자 잠언록은 특이한 구성을 보여 주고 있다. 보통 이러한 책들이 굉장히 어렵거나 혹은 지루해지기 마련인데 이 책은 그러한 면은 찾아 볼 수 없다. 하나의 주제 문장을 한문으로 제시하고 간단한 번역을 통해 핵심을 파악 할 수 있다. 또한 각 주제 문장을 지나고 나면 수많은 예화를 통해 우리의 이해력을 돕고자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서양철학 명언을 다시 제시하므로 노자의 도덕경에 대한 폭넓은 시선을 부여하게 된다. 그래서 노자 잠언록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어느 누구나 쉽게 읽고 느끼며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노자 잠언록을 도교의 종교적 측면이나 도가의 사상적 측면에서 바라 볼 것이 아니라, 사람이면 누구나 사람 됨됨이가 되는 길이 어떠한 것인지 알게 하여주는 인간윤리의 기본적 지침서와 같다는 생각이 든다. 만족함을 느끼지 못하고 흡사 멧돼지 같은 식성을 보이는 맘모니즘의 사람들에게 노자의 이야기들은 많은 깨우침을 준다. 특히 이 시대의 지도자들이 꼭 한번 읽어 보아야 할 책이 아닐까 한다.
화막대어부지족, 구막대어욕득 (禍莫大於不知足, 咎莫大於欲得) - 만족함을 알지 못하는 것보다 큰 화는 없으며, 소유하려는 것보다 더 큰 허물은 없다.(P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