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드셋 mindset

우리가 누구인지, 세상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우리가 무엇을 할 능력과 자격이 있는지,
무엇이 가능한지에 대해 우리가 만들어내고 깊이 간직하고 있는 믿음, 태도, 가정들.

잠재력을 가두는 7가지 거짓말

1. 지능은 타고난 것이다
2. 우리는 뇌의 10퍼센트만 쓴다
3. 실수가 곧 실패다
4. 아는 것이 힘이다
5. 새로운 것은 쉽게 배울 수 없다
6. 다른 사람의 조언을 들어야 한다
7. 찬재로 따로 있다

제한된 신념 극복하려면

이름 붙이고 그 신념은 틀린 의견일 뿐 사실이 아님 기억(증명해봐라~ 내가 나를 아는데~) 하고 새 신념으로 대체하기

나를 자랑스럽게 여기고 긍정적 마인드셋으로 내 안의 비평가를 침묵시켜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5분간 일한 후 5분간 휴식하는 것이 작업에 최적이라는 생각을 바탕으로 1980년대 후반 프란체스코 시릴로 Francesco Cirillo 가 개발한 생산성 향상 기법이다. 25분의 작업 시간 각각은 포모도로 ‘Pomodoro라고 불린다. 이 책을 읽을 때도 1포모도로 동안 읽고 5분간 뇌에 휴식을 주는식으로 읽기를 권한다.

자기 대화가 계속 긍정적일 수 있게 최선을 다하도록 하라. 기억하라. 자신의 한계를 자꾸 생각하면 한계는유지될 것이다. 당신의 능력은 정해져 있지 않으며 무엇이든 배울 수있다.

Forget

학습할 내용 외는 다 잊어라

1. 이미 아는 것
2. 긴급하거나 중요하지 않은 것
3. 내 한계

Act

능동적으로 행동하라

-메모하기, 중요한 부분 밑줄긋기

State

상태를 확인하라

기쁘고 즐겁고 호기심 가득한 상태를 유지해야 기억력도 감정에 따라 높아짐

Teach

배운 것을 가르쳐보라

책임감을 갖고 알려준다 생각하고 독서하고 공부할 것

Enter

일당표에 기입하라

내 성장과 발전도 적어둬라. 제목도 자극적으로 ‘한계가 없는 나’’잠재력에 몰입하는 시간’ 등

Review

복습하라

책 읽기 전 지난 번에 읽은 부분 중 기억나는 내용 얘기하기

질문이 곧 답이다.

나의 지배적인 질문은??

신경가소성의 효과를 기억하라. 질문에 답하고 새로운 활동을 할 때마다 뇌의
신경회로가 다시 연결된다.

배운 것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
왜 이것을 활용해야만 하는가?
언제 이것을 활용할 것인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단기적인 성과에 유리할 수는 있어도장기적인 학습에는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

사람들이 직업을 선택하거나 바꿀 때 과학자처럼 생각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28 첫 번째 단계는 자기 안에 있을 수 있는 여러 자아를 즐겁게 해주는 것이다. 즉 자기가 속분야 안에 있는 사람이든 바깥에 있는 사람이든 자기가 존경하는사람들이 누구인지 파악하고, 그 사람들이 실제로 하루하루를 어떤일을 하며 보내는지 관찰하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그 경로가 현재 자신의 관심사나 기술이나 가치관과 얼마나 일치할 수 있는지 몇가지 가설을 설정하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해서 제각기 다른 정체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관련 정보를 알기 위해사람들을 만나서 물어본다거나 직접 체험해본다거나 맛보기로 그 분야의 어떤 프로젝트를 진행해본다거나 하는 방식으로 말이다. 이때의 목표는 특정한 계획을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아의 여러 가능성을 확장하는 것이다. 이럴 때 다시 생각하기에 대한당신의 마음은 활짝 열린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2-01-16 00: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그런데 브래드가 하지 않았던 일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그는자기 팀을 친화적인 사람들로 구성하지 않았다. 친화적인 사람들은
‘나‘를 지지하는 훌륭한 관계망을 형성한다. 이런 사람들은 ‘나‘에게격려와 응원을 아끼지 않는다. 그러나 다시 생각하기는 그것과는 다른 종류의 관계망(네트워크)에 의존한다. 바로 도전 네트워크(challengenetwork)이다. 이 관계망은 ‘내가 바라보지 못하는 맹점을 지적하고
‘나‘의 약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라고 믿어도 되는 사람들의 집단이다. 이들의 역할은 ‘내가 가진 전문성에 대해서 한층겸손한 태도를 갖게 만들고, 나의 지식을 의심하게 하며, 새로운 가능성에 호기심을 가지도록 밀어붙임으로써 ‘나‘의 다시 생각하기 사이클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자기가 내리는 결론에 동의하는 사람보다 자기가 가진 생각에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에게서 더 많은 것을 배운다. 강력한 지도자는 자기를 비판하는 사람을 가까이하며 그들의 목소리를 키워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인이 되어 자기가 모른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겠다는 자신감(확신)을 가질 때 이들은 증거가 얼마나 강력한지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 자기와 반대되는 의견들을 읽고 이해하는 데 남들보다 더많은 시간을 쓴다.

예측가의 성공을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바로 예측가가 자신의 믿음을 얼마나 자주 수정·보완(업데이트)하느냐는 것이었다.

배우 윌 스미스(Will Smith)도 "잘못된 어떤 것을 바로잡는 것이 자기에게 주어진 책임이라면, 그 잘못이 누구의 잘못인지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 책임을 지는 것이야말로 자기의 힘을 되찾는 것이다" 라고말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