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어리스트 - The Tourist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두 배우가 아깝다...지루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니아 연대기 : 새벽출정호의 항해 - The chronicles of Nania: The Voyage of The Dawn Treader, 2010
영화
평점 :
현재상영


 세계 3대 판타지 소설 중 하나인 "나니아 연대기"를 스크린으로 옮긴 3번째 영화입니다. 앞의 전작들이 땅에서 벌어진 이야기를 그렸자면 이 이야기는 기본적으로 항해 모험담입니다. 나니아 나라에 위기가 찾아와 페번시 남매가 빨려들어간 게 아니기 때문에 이전 영화에서 보여준 긴장감은 상대적으로 적다고 할 수 있을 겁니다. 광활한 바다에서 펼쳐지는 본격 모험을 담았다고 보면 될 겁니다.

이 영화는 원작 소설상의 기본 설정을 어느 정도 따라가고 소설 상에서 첫 등장하는 유스터스라는 캐릭터를 등장시키고는 있지만 많은 부분은 원작과 다른 방향으로 각색을 하였습니다. 그 까닭에 원작 소설상에 등장하는 이야기가 축소되고 변형되기 일쑤고 아니 원작 소설에선 등장하지 않은 7개의 칼 이야기가 새롭게 등장을 합니다. 원작 소설은 나니아 나라의 사라진 7명의 영주를 찾아다니고자 여러 신비한 섬을 돌아다니며 여행을 하는 이야기로 각 섬에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병렬식 구성을 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스크린으로 옮기면서 원작과는 다른 방향으로 각색을 한 것이죠. 7개의 영주의 칼을 찾아야한다는 새로운 목적을 설정하여 이를 찾아다니는 것으로 바꾸어놓았습니다.

 이는 내용의 통일성과 응집력을 높이기위한 선택이겠지만, 그로 인해 전체적인 이야기 구조가 흔들리고 맙니다. 사실 원작 소설은 기본적으로 기독교 색채가 가미된 이야기이고 그 중심엔 아슬란이란 사자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비기독교인 관객에게 이 영화를 어필하기 위해 아슬란의 비중을 상당부분 줄여버리고 다른 기독교 색채를 없애고자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로 인해 원작 소설에서 지니고 있는 매력과 장점이 많이 죽어버렸습니다. 이는 어쩔 수 없는 딜레마입니다. 2시간으로는 도저히 이야기할 수 없는 강풀 만화를 무리하게 축소시키고 각색하다보니 강풀 만화의 장점인 탄탄한 이야기가 죽어버려 결국 흥행 실패로 이어진 사례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을 겁니다.
이 소설을 집필하기 위해 상당히 고심했을 작가의 마음을 생각한다면 원작 소설을 건드리지 않고 스크린으로 잘 담았으면 좋았을 겁니다. 물론 이보다 더 탄탄하며 괜찮은 이야기를 집어넣을 수 있다면 이야기는 달라지겠지만 말입니다.

- 많은 부분에서 CG가 들어갔는데 개인적으로 CG 퀄리티가 좋다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 개성있는 캐릭터인 리피치프를 비롯한 녹색 안개 등등 요새 영화치곤 CG가 상당히 어색하다고 느껴졌습니다.

- 총제작비가 2억달러 이상 들어갔다고 하는데 북미 성적만으론 반도 건지지 못할 지경으로 흥행 실패를 보이고 있군요. 그나마 전세계에서 상당부분 벌여들이곤 있지만, 남은 이야기를 영화로 제대로 만들어질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거대한 제작비를 감축시키려는 노력도 필요하겠고 대대적으로 이 시리즈를 되살릴 수 있는 연출자를 잘 찾아야할 듯 보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니아 연대기 : 새벽출정호의 항해 - The chronicles of Nania: The Voyage of The Dawn Treader, 2010
영화
평점 :
현재상영


속편이 계속 나올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워리어스 웨이 - The Warrior's Way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이 영화의 스토리는 단순합니다. 오프닝 장면에서 상대편 집안을 베어버리고 세계 최강의 전사가 된 장동건은 적의 마지막 생존자인 아기를 보고 자신이 속해있던 암살조직에서 나와 칼을 내려놓게 됩니다. 그리고 친구를 만나기 위해 미국 서부로 향합니다. 이 영화의 연출을 맡은 이승무 감독은 이야기를 진지하게 끌고갈 마음이 없습니다. 그런 까닭에 영화 전반에 걸쳐 가벼움이 깔려 있습니다. 이는 프롤로그 장면에서 자막 농담이 등장하는 것부터 시작이 됩니다.
 또한 배우들이 블루스크린에서 연기를 한 후 CG로 배경처리를 하여 대부분의 장면을 만들었는데, 이로 인해 진지함이 더 떨어집니다. 과도하게 CG를 집어넣은 티가 풀풀 나는데 일부러 의도를 가지고 했는지 알 수 없죠. 하지만 CG의 퀄리티가 아주 좋다고 말을 할 수가 없지만 거의 모든 배경을 CG 처리를 이용했기 때문에 이 비용이 만만치는 않았을 겁니다. 또한 이승무 감독이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고의 효율을 얻어내는 CG 노하우를 지니고 있는지도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이 영화의 제작비가 4000여만불 정도로 하는데 이는 1600만불 가량의 제작비로 만들어진 <스카이라인>의 3배 가량이 들어간 셈입니다.

이 영화에선 여러 영화의 클리셰들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신선함보다는 진부함이 드러나게 만들었죠. 이는 감독의 의도라고는 하지만 결과물은 썩 좋지는 않습니다. 다양한 음식 재료를 한꺼번에 섞는다고 맛이 있는 음식이 되는게 아닌 것처럼 이 영화도 그런 느낌입니다. 적절히 여러 요소들을 잘 이용하고 배치를 했다면 좀 더 좋았겠죠. 제프리 러쉬를 비롯한 배우들은 자신이 맡은 역할을 톡톡히 해냅니다. 각본과 연출이 이를 뒷받침했다면 더 좋았겠지만 그들은 최선을 다한 거죠. 장동건이 맡은 캐릭터가 포커 페이스에다 대사도 거의 없는 역할이라 썩 재미있지는 않습니다. 이런 모습이 감독이 정한 설정이겠지만, 왠지 다른 캐릭터와 썩 잘 어울리지 않습니다. 물론 서양인 나라에 왠 동양인이 걸어들어왔으니 물과 기름처럼 어울리지 못하는게 당연하겠지만 심각한 표정만 짓는 장동건은 마치 다른 배우와 잘 매치는 안됩니다.

 프롤로그가 흐르고나선 가벼운 코믹과 로맨스가 나오고 1시간이 지나서야 비로소 액션 장면이 등장하는데 액션을 기대한 관객한텐 중반까지는 지루할 수밖에 없을 겁니다. 그리고 서부에 와서 낯선 이와 조금씩 마음이 열리고 감정이 쌓여가는 초중반도 자연스럽지 못하고 그 흐름이 툭툭 끊어지기 일쑤입니다. 뭔가 더 있어야할 장면에서 갑자기 다른 씬으로 넘어가서 몰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 영화에서 악당이 두 무리가 등장합니다. 장동건의 상대역으로 나온 케이트 보스워스(린 역)의 부모를 죽인 대령이라는 악당과 장동건(엔딩크레딧에 이름이 '양'이라 나오더라고요.)의 배신을 응징하려고 뒤를 쫓는 슬픈 피리단과 스승이 그들입니다. 하지만 이 영화의 연출을 맡은 이승무 감독은 두 무리의 적의 등장을 적절히 배치하지 못하고 정리를 잘 하지 못한 까닭에 오히려 혼란스럽고 어수선하게 만듭니다. 이는 참 안타까운 일이죠. <록 스탁 앤 투 스모킹 배럴즈>의 가이 리치 감독이나 <다크 나이트>의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처럼 이야기를 적절히 배합하여 교통정리를 잘 하는 감독이라면 이야기에 더 힘이 실렸을텐데 이승무 감독은 그러지 못했습니다. 그 까닭에 갑자기 두 무리의 악당이 한 곳에 모여들어 난장판이 되어버립니다. 차라리 악당을 하나로 설정하여 선과 악 이야기에 더 집중을 했으면 좋았을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쏘우 3D - Saw 3D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신선한 아이디어와 깜쪽같은 반전때문에 많은 관객들의 입에 오르락내리락했던 쏘우1편이 흥행에 성공하였고 그로 인해 계속된 속편이 제작되었습니다. 이 영화까지 합해 총 7편의 쏘우 시리즈가 만들어졌죠. 하지만 계속된 속편이 1,2편만큼 좋은 소리를 듣지 못했는데도 불구하고 이렇게 쏘우 시리즈가 만들어진 이유는 저렴한 제작비 이상의 성적을 거두기 때문입니다. 미국 할로윈 시즌에 개봉하여 1,2주만에 제작비 이상을 벌여들이고 빠지는 치고빠지기 전략이 계속 먹혀들었거든요.
북미 개봉 성적을 살펴보면, 1편이 5,519만불(2,315개 극장에서의 개봉주말수입 1,828만불), 2편이 8,704만불(2,949개 극장의 개봉주말수입 3,173만불), 3편이 8,024만불(3,167개 극장의 개봉주말수입 3,361만불), 4편이 6,330만불(3,183개 극장의 개봉주말수입 3,176만불), 5편이 5,675만불(3,060개 극장의 개봉주말수입 3,005만불), 6편이 4,528만불(2,808개 극장의 개봉주말 수입 2,423만불) 을 벌여들었습니다. 이 수치에서도 알 수 있듯이 쏘우 시리즈의 약발이 갈수록 떨어져가고 있다는 겁니다. 물론 이 영화의 제작비의 2-3배 이상은 벌여들이고 있고 적자는 아니긴 하지만, 쏘우 시리즈가 4편을 기반으로 내리막을 보이고 있다는 게 이 쏘우 시리즈가 끝나게 된 원인이겠죠. 마지막편에서 눈에 띄는 점은 바로 3D로 개봉했다는 겁니다. <아바타>의 엄청난 성공으로인해 많은 영화가 3D화를 시도하고 있는 분위기에 편승하여 마지막 편에서 조금이라도 돈을 더 회수하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겠죠.

 사실 이렇게 쏘우 시리즈가 내리막을 걷고 있는 이유는 바로 시리즈를 하나의 줄기로 이어가려고 하는 시도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쏘우만의 트레이드마크인 충격적인 반전과 직쏘와의 살인 게임은 유지한 채 각 속편을 별개로 만들기보다는 모든 시리즈가 한 줄거리로 이으려고 하다보니 무리한 이야기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처음 <쏘우>가 제작되었을 때는 이렇게 7편까지 나오리라고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고 그결과 속편을 만드려고 시나리오를 집필하는 과정에서 이야기에 무리가 들어가버렸죠. 이는 마치 인기드라마를 무리하게 연장하다보니 그 내용이 늘어지거나 허술하게 되어버린 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체 내용과 상관없는 직쏘의 게임 장면이 들어가고 특히 잔인한 것에만 치중하다보니 흐름에 어울리지 않는 장면이 많이 등장합니다.
이 영화에서도 본 줄거리에 상관있는 내용이 상당수 등장하며, 직쏘와의 살인 게임도 단지 시간이 흘러가 나오고요. 이 속편에서는 실제 직쏘에게 붙들려 죽을 위기에서 탈출한 것처럼 속인 인물이 정말로 직쏘와의 살인 게임에 휘말리게 된다는 것도 결국 이야기를 만들기 위해 억지로 지어낸 듯한 느낌밖에 주지 않습니다.
 그리고 직쏘의 기본 생각은 인간의 삶을 중시하지 않고 막 살고 있는 인간에게 경종을 울리기 위한 것인데 그러한 초반 설정은 이제 뒤로 빠지고 잔인한 직쏘게임과 무리한 반전만 남은 듯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