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새벽 4시 반 - 최고의 대학이 청춘에게 들려주는 성공 습관
웨이슈잉 지음, 이정은 옮김 / 라이스메이커 / 2014년 12월
평점 :
품절


연초가 되면 많은 이들이 새해 계획을 세워 어학원이나 헬스장을 등록하듯이 나는 책을 고른다. , 평소에는 잘 읽지 않는 자기계발서의 책들을.

사실 자기계발서와 같은 책들이 너무 뻔한 이야기를 강조해서 좋아하지는 않지만 때때로 그 뻔한 이야기들에게 또 자극되는 게 사실이니 신년벽두만 되면 자연스레 찾게 되나보다. 막장드라마라 욕하면서도 한번씩 찾게 되는 그런 이상한 끌림이라고 해야할지^^;;

 

이번 주에 읽은 책은 내가 한때 동경해 마지않던 하버드 학생들의 이야기.

하버드는 세 글자만으로도 뭔가 임팩트가 딱 오는 느낌이라 책 제목에 이 단어가 있으면 호기심에라도 펼쳐보지 않을 수 없는데 내용 역시 지난 한해를 반성하고 새 출발 할 수 있도록 자극해주니 연초에 나의 입맛에 딱 들어맞는 책임에는 틀림없었다.

자기계발서에 대한 말들이 참 많지만, 나에게는 유용한 장르임을 부정하고 싶지는 않다. 책의 내용을 얼마나 삶에 체화시키느냐에 따라 독자가 느낀 독서의 질이 달라지는걸 알고 있기 때문에.

 

책의 목차만 읽어봐도 저자가 하고자하는 이야기가 한 눈에 들어온다. 예를 들어, <우리가 실패하는 유일한 이유는 노력 부족이다>, <“난 할 수 있다의 마법>, <시간 관리의 달인이야말로 최고의 부자다> 등 각 장의 소제목만 봐도 어떤 이야기를 주장하려는지 단번에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챕터의 이야기를 읽고 나면 정독하기 전과 후의 느낌은 같지 않다.

사과를 보고 먹지 않아도 난 사과맛을 알아!라고 할 수 있지만 작정하고 맛을 음미할 생각으로 먹게 되면 달콤시큼한 맛에도 미묘한 차이가 느껴지듯이 말이다.

 

책에서 말하듯이, 내가 공감하고 지금도 가장 어렵게 느끼는 삶의 과제가 바로 노력부분이다. 우리가 실패하는 유일한 이유가 노력 부족이라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그리고 이 말은 언제나 삶의 명제처럼 나를 무겁게 짓누르는 말이기도 하다. 어찌어찌 지금까지 살아왔지만 정말 원하는 삶을 살기위해 죽을 만큼 노력한 적이 있느냐는 말에는 답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어느 정도 선에서 항상 타협을 해왔고 그만큼의 댓가를 아쉽지만 받아들였었다. 더 노력했더라면 분명 최고의 목표를 이루었을 것이라 느끼면서도 난 아직 노력이 많이 부족한 인간임을 잘 안다. 드라마 미생에서 임시완이 독백처럼 한 말이 유난히도 선명하게 들렸듯이...

난 열심히 하지 않아서 지금 이러고 있는거다..” 라고.

 

 삶은 계속되기에 하버드에 간다고 분명 끝은 아니다. 오히려 그들에게는 새로운 도전이자 시작이었을테고 저자는 그런 하버드생들의 모습을 관찰한 것이다. 천재 소리를 들으며 누구나 선망하는 하버드에 입학해도 노력하는 삶 없이, 철저한 자기관리 없이는 결국 실패를 반복하는 인생에 불과하다는 것을 말이다. 모두가 잠을 자고 있는 시각인 새벽 4시 반, 빈자리 하나 없이 공부하는 사람들로 가득한 하버드의 도서관. 꿈꾸는 자만이 달콤한 열매를 얻을 수 있다는 지극히 당연한 명제가 실현되는 곳.

결국 알고 있었던 답을 다시 상기한 것 뿐이지만 그럼에도 오늘 좀 더 달릴 수 있는 자양제가 되었기에 저자에게 감사의 맘을 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