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치고 정치 - 김어준의 명랑시민정치교본
김어준 지음, 지승호 엮음 / 푸른숲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어준과 지승호.

김어준씨는 <건투를 빈다>를 통해 처음 알았고, 지승호씨는 각종 도서를 통해 유명한 인터뷰어라는 걸 알게 되었다. 그가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던지는 질문들은 하나같이 정곡을 콕 찌르는 명쾌함이 있었기에 너무 좋았더랬다. 김어준은 뭐 굳이 말할 필요 없이 내숭 없는 내지르기 한판에 속안에 응어리진 감정을 풀어주듯 시원시원하다. 그래서 이 두 인물, 어딘지 닮아있고 통쾌하다.

  정치? 솔직히 관심 없었다. 그렇다고 지금은 정치권에 목소리 높이는 열혈 청년이냐? 또 그렇게 말하기는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 하지만... 아예 귀 막고 입 막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라는 것, 그 결과가 어떻게 내 나라, 내 가족에게 악몽이 되어 돌아오는지를 현 정권에서 적나라하게 확인했기에 적어도 누군가 이건 잘못되었다 혹은 이런 건 칭찬해주어야 한다는 목소리에는 귀 기울일 준비가 되어있다. 사실 칭찬할 부스러기라도 떨어져준다면 황송하겠지만.

  오늘 아침에도 출근길 내내 김어준의 ‘나는 꼼수다’를 들으면서 겉으로는 낄낄대고 웃었지만 속으로는 피눈물 났다. 그저 사전에서만 찾아보곤 했던 ‘꼼수’라는 말이 현실에서 재현되었을 때의 그 기막힘과 허탈함, 치밀어오는 분노를 억제하는 일이 쉽지 만은 않아서였고 이미 알고 있던 불편한 진실을 귀로 확인하는 순간이었기에 말이다. 물론 그들이 방송에서 말하는 모든 시나리오 - 그들 스스로가 ‘소설’이라고 규정짓기도 한다- 가 전부 사실은 아닐지언정 어딘가 착착 맞아떨어지는 그 무시무시한 정확성 때문에 이것이 단지 그들의 상상과 예측에 의해 가정해 본 꼼수 시나리오라고 한정짓기는 어렵다. 오히려 에이 그게 말이 돼?라고 이야기하는 사람을 이상하게 볼 정도이니까.

  이 책은 그동안 김어준이 나꼼수를 통해 발설했던 정치이야기가 시원하게 정리되어 있었는데 많은 부분 비슷한 내용이 언급되기는 하지만 웃고 까발리고 통쾌하게 비난하는 그런 분위기는 아니다. 나름대로 자신의 정확한 기준과 견해를 통해 현 정권은 물론 주요 정치인들, 그리고 앞으로 전개될 정치판을 분석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수준으로까지 진화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읽으면서 방송처럼 마냥 웃고 낄낄 댈 수만은 없었고 닥치고, 정치하라는 이 책의 제목이 오히려 묵직하고 진중하게 다가오기까지 했다.

  과거의 군사정권은 조직폭력단이었어.(웃음) 힘으로 눌렀지. 그런데 이명박은 금융사기단이야.(웃음) 돈으로 누른다. 밥줄 끊고 소송해서 생활을 망가뜨려. 밥줄로부터 자유로운 사람은 없다. 힘으로 때리면 약한 놈은 피해야 해. 그건 부끄러운 게 아니야. 피하고 뒤에서 씨바거리면 돼.(웃음) 그런데 밥줄 때문에 입을 다물면 스스로 자괴감 들어. 우울해져. 자존이 낮아져. 위축돼. 외면하고 싶어. 그러니까 지금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건, 위로야. 쫄지 마! 떠들어도 돼, 씨바. 그런 자세는 그 자체로 사람들에게 위로가 된다.  

[본문 중]

그러니까 결론은 하나다. 이러니저러니 해도 결국 정치판은 국민에 의해 바꿀 수 있다는 일말의 희망을 던져준다는 거다. 속된 말로 그놈이 그놈이니 에잇! 귀 막고, 눈 감아!가 아니라 그러니까 닥치고 너부터 정치판 좀 제대로 들여다보라고 손짓하는 신호다.
정치라고 어렵고 무서운 거 아니다. 그냥 느끼는 대로 보고 듣고 생각해보고, 아닌 건 아니라고 판단할 줄 아는 관심, 견해는 가져야 하는 거 솔직히 맞지 않나?
그래서 쪽팔리다. 정치판을 이따위로 만든 몇몇 정치인들 때문이 아니고 내 자신이 이렇게도 정치에 무관심하고 침묵함으로써 암묵적인 지지를 보낸건가 싶어서다.

아직은 뭐가 어떻게 될지 모르겠고, 내년엔 또 어떤 해괴망칙한 정치쇼가 펼쳐질지 숨죽이며 지켜보는 중이지만 적어도 닥치고 있지만은 않겠다. 그런 의미로 출발은 이 책이다.
이 책 읽고 몇 자 적어보는 수고만으로도 신성한 투표권을 가진 국민으로서의 마음가짐이 달라져 있었으니, 이런 기분을 만끽하고자 하는 분은 닥치고 열독하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