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마시지 마라 - 하루 8잔의 물을 마시는 당신에게
하워드 뮤래드 지음, 이충호 옮김 / 웅진뜰 / 2011년 9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읽기 전에 수분 테스트를 해보는 것이 좋다. 현재 내 몸 상태를 알고 난 뒤라면 저자의 이야기가 훨씬 쉽게 이해되고 공감이 가기 때문이다. 본문을 펼치면 리스트가 기재되어 있으니 귀찮다고 넘기지 말고 재미삼아서라도 한 번 참여해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이 책은 물을 마시지 마라는 책이다. 그래서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 같은데 나 역시도 물 마시는 일을 좀 싫어라 하는 사람이라서 왠지 위안이 되는 기분이다. 사실 내가 물을 잘 마시지 않는 이유 중 가장 큰 것은 바로 ‘귀찮음’이다. 물 많이 마신 후 화장실을 너무 자주 가게 되면 오히려 이게 스트레스로 작용하기 때문인데 많은 이들이 나에게 ‘좋은 피부’와 ‘체질 개선’ 혹은 ‘신진대사’를 위해 많은 물을 마셔야 한다고 강조를 하는 통에 요즘엔 오히려 물 마시는 일이 스트레스 아닌 스트레스가 되어 버렸다.
그러던 차 이 책의 제목이 어찌나 반갑던지^^. 많은 사람이 예라고 대답할 때 ‘아니오’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처럼 누군가 내 소심한 마음을 알아주는 것 같기도 하고, 어쩌면 물 많이 마시는게 오히려 몸에 안 좋을지도 모르겠다는 나름대로의 기대감을 가지고 책을 읽어나갔다.

 

연구기간 30년, 5만명의 사례연구를 통해 <워터 시크릿>이라는 독특한 이론을 만들어낸 저자는 환자의 건강상태를 체크하는 지표로 ‘위상각’(Phase Angel, PA)을 언급했는데 이는 우리가 흔히 건강검진 시 피검사를 통해 발견되는 지표들이 아니다. 즉, 세포를 통해 사람의 건강상태를 측정한다는 말인데 물을 가득 머금은 젊은 세포들이 이 지표의 핵심으로 보인다. 자신의 PA를 간략하게나마 테스트 해보고 싶다면 웹사이트 http://www.thewatersecretbook.com/ 으로 접속해보면 된다.

저자에 따르면 노화는 세포 내 수분상실 때문에 일어난다. 그렇다면 간단한 이치가 아닌가? 세포의 수분을 유지하도록 하면 저절로 노화를 예방할 수 있다니. 몇 십 만원짜리 고가의 화장품이나 관리 프로그램이 아니어도 동안을 유지할 수 있다면 정말 기쁘겠다. 그래서 저자가 주장하는 건강한 세포를 유지하고(수분을 가득 채운) 노화를 막는 프로그램이 바로 ‘워터 시크릿’이다. 물을 마시는 게 아니라 먹자는 모토로 하루 2.5L의 물을 억지로 마실 것이 아니라 수분이 충분한 야채와 과일을 섭취해야한다. 단, 야채를 가열하거나 건조시키면 수분이 날아가므로 되도록 날것 그대로를 섭취해야 함에 주의해야 한다. 야채와 과일에 포함된 물은 세포 속으로 쉽고 빠르게 들어가는 걸 도와주는 분자들로 둘러싸여 있어 최적의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바로 이러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우리가 워터시크릿을 직접 체험하고 습관화할 수 있도록 10단계의 실천 프로그램을 정말 상세하게 설명해 놓았는데, 이 프로그램이 어느 정도 세세하냐면 하루 하루 먹는 식단은 물론 어떤 식품이 어디에 좋고 나쁜지, 또 운동을 어떻게 하면 좋은지에 이르기까지 완벽하게 구성되어 있어 놀랍기까지 하다. 물론 표면적으로는 우리가 다 아는 이야기(야채와 과일을 많이 먹고 규칙적으로 운동하며 충분히 잠을 자야한다는등..)라고 할 수도 있지만 적절한 영향과 건강을 위한 수분까지 고려한 독특한 식단은 정말 따라해 보고 싶은 마음이었다. 자극적이고 영양가 없는 인스턴트 식단에 길들여진 나로서는 좀 힘들겠지만 10주가 아니라 한 3일만 그 식단을 그대로 따라한다면 몸이 훨씬 건강해질 것이 분명해 보였으니 현대인들이 섭취하는 식단에 문제가 많기는 한가보다.

아무튼 물 마시지 말고 먹으라는 그의 이론은 어딘지 익숙하면서도 독특하게 다가왔고 건강한 세포를 유지하여 몸과 마음을 튼튼하게 해 준다면 더 바랄 것이 없지 않을까? 요즘엔 오래 사는 것 보다 어떻게 오래 사는냐하는 삶의 질, 건강의 질도 중요하게 여기는 시대이니 만큼 아프지 말고 건강한 삶을 위해 많은 것들에 도전하고 바꾸는 기회가 되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