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근두근 내 인생
김애란 지음 / 창비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콩달콩 연애소설보다 더 가슴이 두근대는 슬픈 이야기가 가슴을 후벼 파더니 이제는 책을 덮은 후에도 여전히 깊은 여운 때문에 잠을 이루지 못하겠다. 어디로 튈지 모르는 상큼 발랄한 문장들이 죽어가는 아이와 부모의 인생을 노래하는 이 아이러니를 어찌 설명해야할지 나는 모르겠다. 아니 그런 느낌을 설명하기엔 내가 가진 언어의 세계가 너무도 조악하고 촌스럽다는 한계를 스스로 인정하려 한다.
청춘의 뜨거운 욕망을 이기지 못하고 하나가 된 남녀가 대책 없이 아이를 세상에 내놓는다. 그렇게 청춘남녀가 살아온 열일곱 해에 생명이 되어 뱃속에 자리 잡은 아이는 세상 누구보다도 빨리 늙어버리는 조로증을 앓고 그의 부모가 사랑의 열병을 앓았던 때와 꼭 같은 나이인 17살이 된 자식은 신체나이 80의 노인이 되어버렸다. 늙은 소년은 빛의 속도보다 빠르게 사라져가는 자신의 삶을 이렇게 말한다.

“나는 꽤 늙어버렸다...(중략) 내 피부는 푸석하고 머리카락 또한 하나둘 빠지기 시작한 지 오래였다. 하지만 겉모습만 그러할 뿐 내겐 노인들의 지혜나 경험이 없었다. 내가 먹은 나이 속엔 겹겹의 풍부한 주름과 부피가 없었다. 나의 늙음은 텅 빈 노화였다.”

텅 빈 노화를 경험하는 늙은 소년은 죽음이 점점 가까워지자 부모를 위한 조그마한 선물을 준비하겠다고 마음먹는다. 다름 아닌 그들의 연애사를 소설로 써서 드리겠다는 것이었다. 자신에게 생을 선물해준 부모의 과거를 묻고 또 물어 기록해 가는 과정은 어쩌면 이제 사라져버릴 아름이 자신의 생을 재확인하는 과정이었는지 모른다. 그리고 훗날 내가 죽어 없어지더라도 이런 내가 당신들의 청춘 속에서 탄생했음을 잊지 말아달라는 무언의 부탁은 아니었는지.
이렇게 그려진 슬픔 속에서 빛을 발하는 건 작가가 하나하나 만들어내는 멋진 문장이나 독자를 무한정 끌어당기는 이야기의 힘 뿐 만이 아니다. 사랑이야기를 재현해 가는 과정에서 자신의 사랑을 경험하는 열 일곱 아름이의 풋풋한 연애감정 역시 왜 이 작가가 이리도 많은 사람들로부터 공감과 응원을 받아내는지 납득할 수 있게 한다.
역시 사랑은 아파야 한다는 불변의 진리를 확인이라도 시켜주듯이 아름이에게도 어김없이 이 진리는 적용되고 오히려 평범하지 않은 삶 속에서 남들처럼 똑같이 평범한 사랑을 경험하는 일이야말로 늙어가는 소년 아름이를 가장 보통의 존재로 만드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이 아이는 보통의 삶을 살다 보통의 나이에 죽는 것을 항상 ‘기적’이라고 믿고 있었으니까.

언제나 삶은 예측할 수 없는 뒤죽박죽의 통로를 지나간다는 것쯤은 이미 우리네 인생에서 혹은 수많은 책과 영화에서 확인해왔기에 새삼스럽지 않다. 다만 그 새삼스럽지 않은 일을 무방비 상태로 있다가 삶이 재확인시킬 때 아픔은 배가 되고 인생은 녹록치 않음을 다시금 배워가는 것이다. 에잇! 또 당했어. 어째 세상은 내 편이 아닌거야. 시발. 이라고 외쳐도 가슴이 두근대는 한 살아내야 하는 것이 인생이라며 이 한 권의 책이 나에게 말한다.
늙은 소년은 자신이 몸만 노화되었을 뿐 삶의 경험도 지혜도 없는 텅 빈 노화일 뿐이라고 말하지만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그 텅 비어있는 시간과 공간 사이에 자신도 모르게 켜켜히 쌓아올린 아이답지 않은 생의 깨달음이야말로 철없는 노인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아프게 정제된 삶의 언어였음을 알기 때문이다. 늙은 소년의 울음 속에서 자생된 결정체라고도 볼 수 있는...

아버지가 묻는다.
다시 태어난다면 무엇이 되고 싶으냐고.
나는 큰 소리로 답한다.
아버지, 나는 아버지가 되고 싶어요.
아버지가 묻는다.
더 나은 것이 많은데, 왜 당신이냐고.
나는 수줍어 조그맣게 말한다.
아버지, 나는 아버지로 태어나, 다시 나를 낳은 뒤
아버지의 마음을 알고 싶어요.
아버지가 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