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중국은 세계의 패권을 쥘 수 없는가 - 중국 낙관론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31가지 근거
데이빗 매리어트 & 칼 라크루와 지음, 김승완.황미영 옮김 / 평사리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나 어릴 적 슈퍼맨이 지구를 지킨다고 믿었듯이 미국은 세계평화의 수호자인줄 알았던 적이 있었다. 지금은 그런 생각이 180도 바뀌어버렸지만 어린 나의 눈에 비친 미국은 완전 부자나라였고 평화를 사랑하는 민주국가였고 아메리카 드림이라는 꿈을 꾸게 하는 나라였으니.
그런데 몇 해 전부터 중국이 거대한 세계 권력의 핵심으로 부상하더니 곧 있으면 미국을 제치고 세계 제일의 대국이 된다는 말도 심심치 않게 들려왔다. 나야 아직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를 누가 써주면 활자 그대로 믿는 타입이라 그런가 보다했고, 또 그들의 논조가 하나도 틀린 게 없어서 앞으로 중국인들의 위세가 더 당당해 지겠구나라고만 생각해왔었다.
그런데 오늘 이 책 제목을 보니 좀 의아하면서도 한 편으로는 안도가 되기도 한다.
안 그래도 북한 문제와 관련해서 중국의 꼬락서니가 맘에 들지도 않았고 동북공정 관련해 역사를 왜곡하고 날조하는 것도 참 보기 싫었는데 이런 책이 나오니 솔직히 반가운 마음도 들었다.
그런 마음은 그렇다쳐도 이 책에서 말하는 중국의 비관론에 어느 정도 일리가 있고 내가 설득 당할 수 있는가도 상당히 궁금했는데 읽고 보니 중국이 얼마나 위험한 나라인지가 한 눈에 들어온다. 그 위험이란 자국뿐 아니라 타국, 인접한 국가들까지 말도 안 되는 논리를 앞세워 위협하려 들지도 모르는 것인데 그런 생각을 하면 등골이 오싹했다.
그들이 세계를 상대로 혹은 약소국을 상대로 저지른 일들은 예나 지금이나 변한 게 거의 없어 보였을 정도인데 아프리카의 자원을 갈취하면서 쥐꼬리만한 경제 원조를 가지고 생색내는 꼴을 보자니 사채업자들이 빈민층을 상대로 교활하게 엄청난 이익을 갈취하는 것과 무엇이 다를까. 이런 중국에게 장밋빛 미래를 기대하는 건 MB정부에게 국민과의 소통을 통한 올바른 정책의 실현을 기대하는 것과 다르지 않을까 싶다. 한마디로 거의 불가능할 거라는 말씀. 물론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그 자리를 꽤 차는 어이없는 일이 일어나더라도 그것은 일시적이거나 혹은 엄청난 부작용과 여파를 가지고 올 거라는 말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31가지의 근거를 통해 이런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내가 이 책을 다른 책보다 신뢰하는 건 저자들 때문이기도 하다. 1990년대부터 이미 중국에서 활동하며 직접 보고 듣고 생활하며 알게 된 중국의 진짜 얼굴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저자 중 한 명인 데이비드 메리어트는 정치 관련 집필로 홍콩으로 강제 추방되기까지 했으니 이들이 중국이라는 나라에서는 얼마나 눈엣가시로 여겨졌을지 짐작이 간다. 그리하여 책에서 중국의 미래가 암울하다고 조목조목 밝히는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중국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던 나 자신도 공감이 갈 정도로 보편적이고 익숙한 주제들에 무의식적으로 고개가 끄덕여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그들의 언론탄압과 짝퉁천국의 실상, 그리고 일 년에 수십 번 밝혀지는 엽기적인 식품가공의 현실, 게다가 급격하게 벌어지는 빈부격차와 역사왜곡은 물론 쉬도 때도 없이 벌어지는 국토분쟁등... 언론을 통해 너무도 자주 접했던 중국의 모습이었기에 새롭지는 않았지만 이렇다더라는 결론적인 보도와는 달리 그 실상을 실제적인 데이터를 통해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이 책은 중국에도 희망이라는게 있을까?라는 의문마저 들게 했다.
그러면서 나의 조국 대한민국을 돌아보게 된다. 따지고 보면, 중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이런 암울한 모습들이 지금 내가 사는 이 세계에도 벌어지고 있는 엄연한 현실이었기 때문이다. 공정성을 잃은 사회와 부정부패가 난무하는 현 정권, 빈부격차에 상대적 박탈감은 더욱 심해지고 나날이 늘고 있는 자살자들. 이런 모습들이 대한민국에서도 그대로 일어나고 있으니 우리나라의 미래도 그다지 밝다고는 할 수 없겠다.
지정학적으로 중국은 우리나라와 많은 연관이 있고, 그들의 행보에 엄청난 영향을 받게 되는 건 말해봐야 입만 아프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의 현재와 미래를 주의깊게 살펴보아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이다. 누군가가 중국의 엄청난 파워와 장밋빛 미래를 주장한다면, 누군가는 사람들이 간과하고 있는 또 다른 이면을 알려주어햐 함이 맞다. 그렇기에 이 책은 이러한 균형적인 시각을 갖추기에 충분하다고 본다.
거짓없는 중국의 두 얼굴을 보고 싶다면 이 책을 일독해보기를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