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장하준 지음, 김희정.안세민 옮김 / 부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학교에서 평등한 사회, 다 함께 사는 좋은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배운다.

그러나 정작 학교를 졸업하고 나온 사회는 정말 ‘불평등’ 한 곳이라는 걸 알게 된다. 그러다가 이런 불평등도 어느 순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되는데 그런 즈음에 또 한번씩 위기가 온다.

지금껏 알고 있던 혹은 진짜라고 믿었던 것들이 거짓이라고 누군가 말하기 시작한다.

 

처음에 황우석 박사의 논란도 믿기 힘들었다. 가까이 있던 지인은 처음부터 뭔가 냄새가 났었기에 자꾸 의심하는 눈초리로 몇 마디를 하면 주위 사람들이 매국노취급을 해서 그것이 가장 억울하고 무서웠노라고 말한다. 그에게 황우석 사건의 진실이 무엇이냐는 이제 중요하지 않다. 자신과 반대되는 말을 하면 무조건 배척하는 이 사회가 무서울 뿐이라고 했었다.

그래서 나는 지금 이 순간 세상에 밝혀지지 않는 진실을 말하려 하는 이들의 용기가 너무도 부러울 뿐이다.

이를테면 이 책의 저자인 장하준 교수 같은 사람처럼.

 

저자가 그간 집필해온 전작들을 보면 이 책도 그럼 그렇지라는 수긍이 먼저 온다. 나만 몰랐던 사실인지 모르겠지만 자본주의, 아니 엄밀히 말하면 자유 시장 자본주의와 세계화에 대해 무지했던 점들을 너무도 쉽게 가르쳐 주고는 했기에 그의 책은 출간과 동시에 이목이 집중된다.

이 책의 제목처럼 저자는 자본주의가 그래도 가장 이상적인 시스템임에도 특정 자본주의하에서 표출된 문제점들이 심각하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그것을 23가지의 큰 줄기로 나누었다고 하는데 일전에 본 인터뷰 기사를 보면 그보다 훨씬 많은데 많이 간추린 거라고 한다. 또한 제목에 대해서도 25가지는 인위적으로 맞춘 느낌이고 21,2가지는 20에 가깝기에 부족해 보이고 그래서 23가지로 정했다고 하니 약간은 김 빠지는 결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말하는 23가지의 말하지 않는 이야기들은 이제는 알아야 하지 않을까, 아니 진작에 눈치를 챘어야 하는데 너무 멀리 온 건 아닌가라는 느낌마저 들게 했다. 그리고 그가 정리를 하면서 빼내야 했던 다른 이야기들도 여전히 알고 싶다.

 

경제 경영서적을 유난히 어려워하는 나로써 그의 책이 반가운 또 다른 이유는 그래도 쉽게 설명되어져 있다는 점이다. 기억하기도 어려운 많은 경제학자들의 이름과 그 유명한 이름들을 거론하며 한껏 힘이 들어간 다른 책들과 차별되는 점도 그것이다. 현상을 얘기하고 그 현상들이 뭐가 문제인지, 이것들이 지금까지 우리들에게 어떻게 인식되어 왔는지를 알려주고 그것을 또 반박하는 실례를 들어 전체를 이해하게끔 우리를 유도한다.

경제학에 문외한인 나도 이해할 정도면 그가 글을 풀어내려가는 능력이 탁월하기는 한 것이겠지만 어쩌면 이미 나도 그동안 어느 정도는 이런 자유 시장 자본주의의 폐단과 문제점들을 때때로 목격해 오고 있었는지 모른다.

 

그의 이야기 중 가장 공감이 되는 부분은 자유 시장 하에서도 자본주의 시스템 안에서도 자국의 산업이나 시장을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규제와 보호무역은 필요하다는 점이었다. 그리고 개방을 위한 시기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

매스컴에서 연일 FTA 협상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이 책을 읽고 나니 나는 FTA를 무조건 반대하는 사람은 아니지만 지금이 과연 적절한 시기인지, 우리에게 그것을 감당할 충분한 준비가 되어있는지 의심이 가는 건 사실이다. 결과는 두고 보면 알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