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리자적 전환이 초래하는 가장 폭넓은 결과로, 사람은 자신에게 지시를 내리는 권위자에 대해서는 책임감을 느끼지만, 권위자가 지시한 행동의 내용에 대해서는 책임감을 느끼지 않는다. 도덕성이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근본적으로 그 초점을 달리한다. 하급자는 권위자가 요구하는 행동을 얼마나 잘 수행했느냐에 따라 수치심이나 자부심을 느낀다.
언어에는 이런 유형의 도덕성을 지칭하는 용어들이 많다. 즉 충성·의무·규율 등은 도덕적 의미를 강하게 내포하고 있으며, 한 사람이 권위자에 대한 자신의 의무를 수행한 정도를 언급한다. 이러한 용어는 인간 자체의 '선'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하급자가 사회적으로 정의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한 정도를 말한다. 권위자의 명령 아래에서 극악한 행동을 한 개인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변명은 단지 자신의 의무를 다했을 뿐이라는 것이다. 이때 그 사람은 그 순간을 모면하기 위해 핑곗거리를 만들어낸 것이 아니라, 권위자에 대한 복종으로 말미암아 나타난 심리적 태도를 솔직하게 이야기한 것이다.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그 행동이 '자기'에게서 비롯했다고 인식해야 한다.
<권위에 대한 복종> 211~212쪽, 스탠리 밀그램, 에코리브르
세상에 대해서 가장 빠르게 무관심해질 수 있는 마법의 주문이 있다. "이것은 나와는 전혀 상관없는 일이야." 하루종일 이 말만 되뇌이며 산다면, 어느 순간 완전히 세상과 동떨어진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과연 자신과 상관없는 일이라는 것이 있을까? 과거에는 정말로 그런 일이 존재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세상은 이제 엄청나게 좁아졌다. 내가 여기서 했던 행동 하나가 지구를 돌고 돌아 방글라데시, 소말리아, 뉴욕, 캘커타, 니스, 툴루즈, 암스테르담, 베로나, 도쿄, 광저우 등에 사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세상 일에 대해서 '잘 모르겠다', '관심 없다'는 말을 한다는 것은, 내가 한 행동에 대해서 무책임하다고 스스로 이야기하는 꼴이다. '천라지망'이라는 단어는 이렇게 촘촘하게 이어진 느슨한 인과의 법칙을 이야기하고 있다. 모든 일은 나에게서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행동 하나하나에 조심해야 할 수밖에. 심리학자 스탠리 밀그램을 세계적인 논란의 중심에 밀어넣은 '전기충격 실험'의 보고서인 이 책을 보다가 이런 엉뚱한 생각을 해 본다.
갑자기 문득 든 생각이다. 우리가 사는 세상의 권위자 혹은 권력자는 우리들이 세상에 많은 관심을 가지길 원할까? 아니면 세상에 전혀 관심이 없기를 바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