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 장에서 테러가 다른 폭력과 다른 점은 그 궁극적인 대상이 폭력의 직접적인 대상이 아니라 그것을 지켜보는 다른 사람이라는 데에 있다고 설명했다. 로마의 장군 티투스는 포로들을 단순히 아무 곳에서나 십자가에 매달아 죽인 것이 아니라, 성 안에서 버티며 저항하는 유대인들이 볼 수 있도록, 일부러 "성벽과 마주한 곳에서" 매달았으며, 이를 통해 그 장면을 보는 사람들에게 조속히 투항하지 않으면 "같은 운명에 처한다는 두려움을 주"려고 했다. 즉 테러의 전술을 사용한 것이다. 그러나 신기하게도 요세푸스의 서술에 의하면, 예루살렘 성에 남아 있던 저항군들은 그 "끔찍한 광경을 보고도 마음을 바꿀 생각을 하지 않았다". 그들은 로마 군인들의 잔혹한 행태를 보면서 오히려 느슨해진 자신들의 저항 정신을 더 조였던 것이다. 이것은 테러의 사용이 그 자체로 테러의 성공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 특히 '무고한' 사람들에 대한 테러는, 바로 그것이 '테러리즘'의 핵심인데, 정치적으로 반드시 실패할 수밖에 없다. (물론 '무고함' 자체가 정치적 투쟁의 대상이고 결과인 것도 사실이다.)


<테러> 48~49쪽, 공진성, 책세상

  일벌백계라는 말이 있다. 한 명을 벌해서 백 명에게 교훈과 가르침을 준다는 뜻이다. 이 '교훈과 가르침'은 훈계자가 피훈계자에게 주는 일종의 메시지이다. 이는 테러가 테러리스트가 테러의 대상 혹은 궁극적 목표에게 주는 메시지의 구조와도 같을 것이다.
  그렇다면 일벌백계의 정당성은 누가 만드는가? 아무리 벌을 주고 야단을 치고 윽박지른다 해도, 그 대상이 그럴 만한 존재가 아니라면 그 '교훈과 가르침'은 '테러'가 되는 것이 아닐까? 교육에 대해서 진지하게 고민을 하는 사람이라면, 이 문제는 한 번 생각해 볼 법한 주제일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시毛詩에서는 "위정자爲政者는 이로써 백성을 풍화風化하고 백성은 위정자를 풍자諷刺한다"고 쓰고 있습니다. '초상지풍 초필언'草尙之風草必偃, "풀 위에 바람이 불면 풀은 반드시 눕는다"는 것이지요. 민요의 수집과 『시경』의 편찬은 백성들을 바르게 인도한다는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편 백성들 편에서는 노래로써 위정자들을 풍자하고 있습니다. 바람이 불면 풀은 눕지 않을 수 없지만 바람 속에서도 풀은 다시 일어선다는 의지를 보이지요. '초상지풍 초필언' 구절 다음에 '수지풍중 초부립'誰知風中草復立을 대구로 넣어 "누가 알랴, 바람 속에서도 풀은 다시 일어서고 있다는 것을"이라고 풍자하고 있는 것이지요. 『시경』에는 이와 같은 비판과 저항의 의지가 얼마든지 발견됩니다. 「큰 쥐」(碩鼠)라는 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쥐야, 쥐야, 큰 쥐야. 내 보리 먹지 마라.
  오랫동안 너를 섬겼건만 너는 은혜를 갚을 줄 모르는구나.
  맹세코 너를 떠나 저 행복한 나라로 가리라.
  착취가 없는 행복한 나라로. 이제 우리의 정의를 찾으리라.


<강의> 62~63쪽, 신영복, 돌베개

  패관문학의 기원은 정치하는 윗사람이 아랫사람들의 민심을 알기 위해 민간에서 떠도는 노래와 이야기, 소문들을 수집한 데서 시작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민심을 알기 위한 수단으로 백성들이 하는 이야기만큼 직접적인 것이 어디 있겠는가? 하지만 백성들은 직접적인 이야기가 자기의 몸을 해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그 이야기를 비유와 풍자로 한두번 꼬았다. 문학의 발전에서 포악한 정치가 기여한 분량은 의외로 무척 큰 것일지도 모르겠다. 인간의 감정을 직접 전하지 못하는 답답함이 노래와 시와 글로 옮겨져서 특유의 향취를 풍기게 된 것일지도 모르는 법이다. 내가 앞으로 몇 년 뒤에 나올 우리나라의 시와 소설들을 기대하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세의 유명한 신비주의자 힐데가르트 본 빙겐(Hildegard von Bingen)도 '과수(果樹)들에는 저마다 신의 뜻이 숨겨져 있으며, 오로지 은총을 입은 사람들만이 이 뜻을 깨달을 수 있다'라는 말을 남겼다네. 힐데가르트의 이 말은 암흑기(서양사에서 봉건제와 교회의 속박으로 학문과 예술이 쇠퇴하였던 중세를 이른다-옮긴이)의 과학 철학을 기술한 것이며, 또 이 철학은 현실 세계의 다양한 사물은 이데아 세계의 그림자에 지나지 않는다는 플라톤 철학의 신념에서 비롯되었네. 플라톤은 『대화편』에서 이러한 신념을 추상적인 개념으로 말했을 뿐이었는데, 중세의 기독교도들은 그가 이 저서에서 말한 이데아의 세계가 자신들이 믿는 낙원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간주해 버린 것일세. 그리하여 그들은 세상의 만물은 신이 자신의 뜻을 전하기 위해 보낸 상징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네. 당시 성직자들의 역할은 융 학파 정신 치료가의 역할과 비슷했네. 신의 숨겨진 '메시지'를 해석해서 무지한 대중에게 설명해 주었으니 말일세. 그리고 그들은 사과의 유혹적인 빛깔, 양면성을 지닌 맛, 여성을 암시하는 중심의 생김새,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 감추어진 별의 모양이 바로 금단의 선악과나무에서 자랐을 열매임을 나타내는 표식이라고 해석했다네."
  그 은둔자는 설명을 마친 후 웃으며 말을 이었다. "하지만 성경 어디에도 그 사악한 과일이 사과라고는 나와 있지 않네. 사과를 그런 식으로 취급해 버린 이들은 바로 로마 가톨릭교도들이지. 그리스 정교회는 그 금단의 열매를 단지 오만과 성욕의 상징으로만 보고 있네." 이어서 그는 강한 어조로 덧붙였다. "여보게. 이것들은 그냥 사과일 뿐일세. 그리고 신의 뜻에 따라 이제는 이렇게 네 조각으로 나누어졌네. 우리 네 사람을 위해 하나씩 말일세." 그는 웃음을 지으며 그 사과 조각을 하나씩 나누어주었다.
  "자, 드시게."


<악마의 정원에서> 20~21쪽, 스튜어트 리 앨런, 생각의나무


  세상의 진리를 해석하려고 하는 사람들이 범할 수 있는 오류 중 하나는, 자신이 알아낸 진리가 정말로 진리인지 혹은 자신의 착각이 만들어낸 실수인지를 판단하지 못하는 것이리라. 과연 사과는 악마의 상징일까? 아담과 이브를 에덴 동산에서 쫓아낸 선악과일까? 상징은 갖다붙이기 나름이다. 사과에서 발견했다는 여러 상징들도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 여지는 많지 않겠는가. 그 한 가지 예로 중국에서 사과는 평안함을 상징하는 예물이다. 악마와는 거리가 있지 않은가?
  그래서 나는 이 대목의 마지막 부분을 좋아한다. 그렇다. 이것들은 그냥 사과일 뿐이다. 눈길을 걸어와 지친 여행자들에게 원기를 되찾게 해 줄 고마운 음식, 맛있는 사과일 뿐이다. 그러니 자, 한 입 베어물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빌바오에 있는 구겐하임 미술관이 성공하자 문화 시설들이 성공적인 도시 부활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시각이 더욱 힘을 얻게 되었다. 프랭크 게리가 설계한 이 상징적 건물을 보기 위해서 관광객들이 몰렸다. 1994년 빌바오를 찾은 관광객 수는 140만 명에 불과했지만 2005년에는 이 숫자가 380만 명으로 늘어났다. 미술관을 찾는 관광객 수만 매년 100만 명에 이른다.
  그러나 분명 빌바오에 회의적인 시선을 던지는 사람들도 있다. 한 연구 결과는 미술관 때문에 생긴 신규 일자리 수는 900개 정도에 불과하며, 미술관 프로젝트로 인해서 바스크 재정은 2억 4,000만 달러 감소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빌바오로부터 교훈을 이끌어낼 때 이보다 더 큰 문제는 그곳이 겪은 경험이 표준과는 거리가 멀다는 데 있다.
  구겐하임 같은 미술관이 하나 성공할 때, 매년 40만 명의 신규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을 것이란 희망을 갖고 잉글랜드 셰필드에 세워진 전국 대중문화 센터처럼 값비싼 대가를 치르고 실패한 곳들이 수십 곳이 생긴다. 1999년 문을 열었을 때 이 센터를 찾은 관광객 수는 예상치의 4분의 1에 불과했고, 결국 같은 해에 센터는 문을 닫았다. 독일 중동부에 있는 도시 라이프치히에도 아름다운 예술 박물관이 있지만 이 박물관이 지어진 후 숙박 요금이 천정부지로 치솟자 안타깝게도 박물관 관광객 수는 급감했다.


<도시의 승리> 130쪽, 에드워드 글레이저, 해냄

  '지역 발전을 위한 다양한 시설의 유치'가 선거철 공약의 단골이다. 그러한 시설들 중에서는 정부 기관, 기업, 문화 시설 등의 다양한 종류가 언급된다. 그리고 그러한 것들이 지역에 유치되면 '일자리 창출'이라는 말이 추가로 따라온다. 정말로 그럴까?
  위 글에서는 문화 시설을 예로 들어 그것들이 실제로 창출해내는 효용이 그것들을 위해 들어가는 비용에 비해 높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를 보여준다. 물론 그러한 시설의 유치가 지역 발전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하지만 그 성공 사례가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인지, 아니면 그 지역이나 그 시기의 특수한 조건 때문에 가능했던 것인지에 대한 검토가 항상 따라와야 한다. 그렇지 않고 무조건 모방을 하면 크게 손해볼 가능성이 무척 높아진다. 박지원이 자신의 글에서 언급한 '부뚜막을 줄여서 승리한 경우와 부뚜막을 늘여서 승리한 경우'를 한 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똑같은 배수진이지만, 한신이 쳤을 때는 승리했고, 신립이 쳤을 때는 패배한 이유는 무엇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리스틀리와 마찬가지로 플레이페어도 미개척 분야에 과감히 도전했다. <경제·정치지도첩> 서문에서 그는 돈이 어떻게 선으로 표시될 수 있는지 고개를 가로저을지도 모르는 독자들의 의구심에 다음과 같이 일격을 가했다.


  기하학적 측정법은 돈이나 시간과 무관하다는 점을 이유로, 많은 이들이 이 방법을 잘못되었다고 비난해왔다. 하지만 분명 이 방법으로 시간과 돈이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 이러한 이의를 잠재울 가장 손쉽고 간단한 방법일 것이다. 상거래 과정에서 어떤 사람이 받는 돈이 모두 기니guinea(영국의 옛 화폐)이고, 매일 저녁 그가 낮 동안에 거두어들인 그 기니들을 한꺼번에 쌓아둔다고 가정해보자. 그럴 경우 각각의 무더기는 하루를 의미하고, 그 놀이는 그날 하루 동안에 받은 돈의 액수와 비례할 것이다. 이 단순한 논리로 우리는 시간, 비례 그리고 양이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음을 확인한 셈이다.
  감히 단언컨대 직선적 산술lineal arithmetic이란 대폭 축소되어 종이 위에 표시된 이 기니의 더미들과 같다. 종이 위에서는 (예를 들어) 1인치가 지도상에서 어떤 강의 폭이나 영토의 특정 넓이를 나타내듯이, 500만 기니의 부피를 나타내기도 한다.

  플레이페어는 정보를 그래프 형태로 나타내야 하는 두 가지 이유를 제시했다. 첫째는 데이터가 소통되는 효율성의 개선이었다. 인간 사회에서 지식이 증가하고 거래가 늘어나면서, 개인과 개인 그리고 개인과 다수 사이의 정보 전달 양식을 간편하게 만드는 일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이유는 특수층을 겨냥한 것이었다.


  고위층이나 활동적인 사업가들은 일반적 개요에만 관심을 둘 뿐 일반 정보의 수준을 넘어서는 특수용법 따위에는 눈길도 주지 않는다. 따라서 특수한 사항들을 일일이 검토하느라 골머리를 앓을 필요도 없이 이들 도표의 힘을 빌어 그러한 정보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화 혁명의 세계사> 230~232쪽, 대니얼 R. 헤드릭, 너머북스

  우리가 흔히 접하는 경제 동향 같은 걸 다룬 도표와 그래프는, 의외로 그 역사가 길지 않았다. 너무나도 당연하게 여기고 있는 것들이 인류에게는 꽤나 새로운 개념에 속한다는 것은, 우리들의 입장에서는 무척 놀라운 일이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보면 위의 사례와 같은 경우도 있고, 정약용도 복잡한 자료문서를 도표화시켜서 정리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그러고보면 인류의 발전을 엿볼 수 있는 방법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과 방법의 발전을 관찰한다는 이야기도 틀린 말은 아닌 듯 하다.
  정보라는 것은 참으로 알 수 없는 것 같다. 그 내용이라는 것은 단독으로는 아무런 의미가 없고, 맥락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비로소 정보는 제 능력을 발휘하니 말이다. 이는 인류가 집단 생활을 하면서 주고받음이 발전하면서 정보 역시 발전했을 거라는 추측을 가능케 한다. 정보에 대한 공부를 조금 더 해 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