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의 유명한 신비주의자 힐데가르트 본 빙겐(Hildegard von Bingen)도 '과수(果樹)들에는 저마다 신의 뜻이 숨겨져 있으며, 오로지 은총을 입은 사람들만이 이 뜻을 깨달을 수 있다'라는 말을 남겼다네. 힐데가르트의 이 말은 암흑기(서양사에서 봉건제와 교회의 속박으로 학문과 예술이 쇠퇴하였던 중세를 이른다-옮긴이)의 과학 철학을 기술한 것이며, 또 이 철학은 현실 세계의 다양한 사물은 이데아 세계의 그림자에 지나지 않는다는 플라톤 철학의 신념에서 비롯되었네. 플라톤은 『대화편』에서 이러한 신념을 추상적인 개념으로 말했을 뿐이었는데, 중세의 기독교도들은 그가 이 저서에서 말한 이데아의 세계가 자신들이 믿는 낙원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간주해 버린 것일세. 그리하여 그들은 세상의 만물은 신이 자신의 뜻을 전하기 위해 보낸 상징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네. 당시 성직자들의 역할은 융 학파 정신 치료가의 역할과 비슷했네. 신의 숨겨진 '메시지'를 해석해서 무지한 대중에게 설명해 주었으니 말일세. 그리고 그들은 사과의 유혹적인 빛깔, 양면성을 지닌 맛, 여성을 암시하는 중심의 생김새,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 감추어진 별의 모양이 바로 금단의 선악과나무에서 자랐을 열매임을 나타내는 표식이라고 해석했다네."
  그 은둔자는 설명을 마친 후 웃으며 말을 이었다. "하지만 성경 어디에도 그 사악한 과일이 사과라고는 나와 있지 않네. 사과를 그런 식으로 취급해 버린 이들은 바로 로마 가톨릭교도들이지. 그리스 정교회는 그 금단의 열매를 단지 오만과 성욕의 상징으로만 보고 있네." 이어서 그는 강한 어조로 덧붙였다. "여보게. 이것들은 그냥 사과일 뿐일세. 그리고 신의 뜻에 따라 이제는 이렇게 네 조각으로 나누어졌네. 우리 네 사람을 위해 하나씩 말일세." 그는 웃음을 지으며 그 사과 조각을 하나씩 나누어주었다.
  "자, 드시게."


<악마의 정원에서> 20~21쪽, 스튜어트 리 앨런, 생각의나무


  세상의 진리를 해석하려고 하는 사람들이 범할 수 있는 오류 중 하나는, 자신이 알아낸 진리가 정말로 진리인지 혹은 자신의 착각이 만들어낸 실수인지를 판단하지 못하는 것이리라. 과연 사과는 악마의 상징일까? 아담과 이브를 에덴 동산에서 쫓아낸 선악과일까? 상징은 갖다붙이기 나름이다. 사과에서 발견했다는 여러 상징들도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 여지는 많지 않겠는가. 그 한 가지 예로 중국에서 사과는 평안함을 상징하는 예물이다. 악마와는 거리가 있지 않은가?
  그래서 나는 이 대목의 마지막 부분을 좋아한다. 그렇다. 이것들은 그냥 사과일 뿐이다. 눈길을 걸어와 지친 여행자들에게 원기를 되찾게 해 줄 고마운 음식, 맛있는 사과일 뿐이다. 그러니 자, 한 입 베어물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