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종말의 허구
곽수종 지음 / 메이트북스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책을 증정 받아 직접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했습니다.

이 책은 곽수종 교수의 저서로, 세계 경제의 중심축인 ‘미국 달러 패권’의 기원과 현재, 그리고 미래를 통찰력 있게 분석한 작품이다. 곽수종 교수는 연합뉴스 경제TV <곽수종의 경제 프리즘> 진행자로 잘 알려져 있으며, 유튜브 <경제 담판> 채널 운영자이기도 하다. 또한 전 선문대학교 국제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오랜 기간 국제 경제를 연구해 온 학자다.

단순히 경제 현상을 나열하는 수준을 넘어, 달러 패권의 역사적 형성과 유지, 그리고 향후 변화 가능성까지 포괄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돋보인다. 책의 초반부에서는 미국의 경제 구조와 패권 형성의 역사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2000년대 초반부터 현재(2025년)에 이르기까지의 미국 경제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며, 과거의 경제 위기, 금융 구조, 정책 변화 등이 현재의 달러 체제를 어떻게 만들었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독자는 단순한 시사적 지식이 아니라, 미국 경제의 본질적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인상적인 점은, 이 책이 단지 현대의 이야기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기원전 432년 스파르타 지도자들의 사례부터 시작해, 오스트리아·독일 제국 시대의 경제사, 그리고 근대 이후의 세계 금융 체제의 변동사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었는데, 이러한 접근 방식은 과거를 함께 타산지석으로 삼을 수 있어서 흥미로웠다.

과거의 제국들이 패권을 잃게 된 원인을 분석하면서, 이를 현대 미국의 달러 패권 구조와 비교한다. 책의 중반부에서는 미국의 패권에 도전하는 중국의 부상이 주요 주제로 다뤄진다. 곽수종 교수는 단순히 ‘미국 vs 중국’이라는 이분법적 시각을 취하지 않는다. 그는 두 국가가 완전히 분리된 대립 구조가 아니라, 서로 긴밀하게 얽혀 있는 상호 의존적 관계임을 강조한다. 즉, 세계 경제는 미국과 중국이라는 두 거인의 협력과 경쟁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유기적 시스템이라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독자는 미·중 경제전쟁의 표면적 갈등 너머의 구조적 진실을 읽어낼 수 있다. 이 책은 또한 한국의 위치와 역할에도 주목한다. 미국과 중국의 사이에서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현실, 그리고 우리 기업들이 처한 글로벌 공급망 구조 속의 도전과 선택을 함께 조명한다. 곽수종 교수는 “세계 경제의 흐름 속에서 한국이 어떻게 중심을 잡고 나아가야 하는가”라는 문제를 냉철하게 분석하며, 국가적 생존 전략에 대한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





경제를 다루는 책이지만, 단순히 통계나 이론에만 머물지 않는다. 곽수종 교수는 금, 달러, 그리고 새로운 자산 형태인 암호화폐(가상화폐) 의 관계를 탐구하며, 21세기 금융 질서의 변화 방향을 제시한다. 특히 금은 과거부터 존재한 전통적 안전 자산으로서의 위상을, 암호화폐는 디지털 시대가 가져온 새로운 화폐 혁명으로서의 가능성을 동시에 비교한다. 암호화폐가 아직은 불안정하지만, 잠재적 변수가 될 수 있음이 느껴진다.

책의 후반부에서는 슈퍼파워 미국의 현실과 한계가 집중적으로 다뤄진다. 곽수종 교수는 미국이 여전히 세계 최강대국으로 군림하고 있지만, 그 기반이 점차 약화되고 있다는 점을 냉정히 분석한다. 동시에 중국이 미국을 대체하기에는 여전히 풀어야 할 구조적 한계와 문제점이 있음을 지적한다.

즉, 미국의 패권은 흔들리고 있지만 아직 완전히 무너지지 않았으며, 21세기 세계 질서는 미국 중심의 다극 체제로 재편될 가능성이 크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국제경제를 해석하는 데에만 그치지 않고 독자는 이를 통해 경제, 정치, 외교, 기술 패권까지 아우르는 글로벌 인식의 틀을 얻게 된다. 또한 저자가 방송과 유튜브를 통해 다뤘던 경제 현안들을 깊이 있게 확장해 다루기 때문에, 방송으로 익숙한 그의 설명을 책을 통해 더욱 체계적으로 접할 수 있다.

결국 이 책은 “미국 달러는 왜 세계를 지배하게 되었는가, 그리고 그 지배는 언제까지 이어질 것인가?” 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곽수종 교수의 대답이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통합적으로 읽어내는 통찰이 담겨 있으며, 경제를 둘러싼 세계사의 거대한 흐름을 한눈에 꿰뚫게 하는 안내서다. 달러 패권의 본질과 그 변화의 방향을 알고 싶다면, 이 책은 그 출발점이 되어줄 만한 깊이 있는 책이다. 경제학의 언어로 세계사를 읽어내고, 세계사의 맥락 속에서 경제를 다시 바라보게 만드는 책이다. 미국의 달러, 중국의 부상, 그리고 그 사이에서의 한국의 전략적 위치를 균형 있게 이해하고 싶은 독자에게 강력히 추천할 만한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