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아는 나는 누구인가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 지음, 윤순식.원당희 옮김 / (주)교학도서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독일에서 무려 100만 부 이상 팔린 베스트셀러다. 저자인 R. D. 프레히트는 현재 독일 대학에서 철학, 미학과 초빙교수이자 철학 분야의 대작가로 널리 인정받는 학자라고 한다. 


철학이란 무엇일까. 대학의 인문대학에 개설된 '철학과'라는 곳에서 배우는 곳이 철학일까. 아니면 고등학생 때 미약하게나마 배웠던 윤리학의 현대의 철학인 것인가. 이 책은 철학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우리가 인지할 수 있는 범위의 해답을 충분히 제시하고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이 책에는 수많은 철학자가 등장한다. 데카르트, 쇼펜하우어 등 우리에게 비교적 그 이름이 잘 알려져 있는 사상가부터 현대 의학자나 과학적 성취를 이룬 대학교수들이 등장하며, 이 책이 제시하는 인간의 삶의 조각들을 구성하는 각 토픽들에 대한 철학적 견지를 제시하고 있었다.


내용이 결코 가벼운 책은 아니지만 그렇기 때문에 한 단어씩 천천히 음미해 가며 읽어볼 만한 가치가 충분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인간의 다양한 삶의 모습에 대해 우리 인간들이 과거부터 지금까지 바라본 생각과 아이디어의 무수한 파편들이 듬성듬성 조각을 이루며 전달되는 듯한 느낌으로 다가온다. 난파되어 바다에 고립된 선원이 육지에 도움을 청하기 위해 유리병에 넣어 띄워 보내는 서신처럼 이야기는 글타래처럼 독자에게 천천히 전달된다. 


이 책을 통해 내가 새삼 느낀 바가 있다면 철학이란 기본적으로 '생각하는 것'이며, 그 해답은 완벽히 제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인 것 같다. 간단한 하나의 주제라도 많은 사람들이 서로 주고받는 담론의 존재가 불가피하다.


철학을 논하는 것은 인간의 생각을 논하는 것이고, 인간의 생각은 머리, 바로 뇌에서 이루어진다. 철학적인 고찰은 촘촘한 생각을 이루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인간의 뇌의 놀라운 작용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도 철학과 사상은 뇌과학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므로 뇌과학과 다양한 해부학적 실험에 대한 과정과 연구 결과를 담아 두었다. 일반적으로 철학은 문과생들이 공부하는 인문학적 지식이고, 뇌과학은 화학과 생물학을 공부하는 이공학도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나의 가장 큰 오판이었다. 철학은 다른 어떤 학문의 갈래보다도 뇌과학과 생물학에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뇌과학뿐만 아니라 심리학적 지식에 대한 깨알 같은 내용들도 확인할 수 있었던 백과사전 같은 책이었다고 평해본다. 철학은 인간의 심오한 고찰을 기반으로 하므로 시간을 여유로이 음미하며 깊은 사색에 잠기고 싶은 사람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이 책은 인간의 삶의 토픽에 대한 해답으로 근접할 수 있는 경로를 열어주며, 배울만한 과학적 지식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건강한 책이다. 철학 등 인문학과 과학적 소양을 동시에 챙길 수 있는 똑똑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