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3 - 남북국 시대가 펼쳐지다 (650년~940년)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시리즈 3
윤재운 지음, 김민선 그림 / 웅진주니어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삼국중 가장 늦게 한강을 차지 했고 고대 왕국으로 가장 늦게 발전했지만 삼국을 통일하고 천년의 역사를 이어온 신라

고구려나 백제와 달리 그 문화재가 경주에 많이 남아있어 아이와 직접 그 역사속으로 들어가 볼수 있는 곳.

[마주보는 한국사 교실 3]은 남북국 시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삼국 시대 이후 통일 신라와 발해~

우리 학교다날적 발해에 대해 얼마 배우지 않았던점과 비교하여보면 요즘 아이들은 우리때보다 훨씬더 역사에 대해 바로 알고있지 않나 생각해보지만 훼손되고 방치되는 문화재들을 보면 어른들의 역사의식이 얼마나 부끄러운가를 생각하기도 한다.

이런저런 생각을 하면서 이책을 아이와 함께 읽어 나갔다. 경주에 몇번을 다녀와서 인지 2권보다는 쉽게 읽어 나갔다.

책은 신라가 통일하는 과정에서 백제의 몰락과 고구려의 몰락을 그리고 그안의 당과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고 그 후  신라의 전성기..신라의 불교, 골품제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되어있다.

또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책은 남북국 시대를 주제로 쓰여져 있지만 발해보다는 통일신라에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다. 쇠퇴하는 신라의 모습과 후삼국의 모습까지 천년의 신라 역사중 삼백여년의 자세히 알 수있었다.

신라하면 아이는 경주를 가장먼저 더올리는것 같다.아마도 경주에 여러번 다녀와서 인것같다.

그래서 인지 경주에 관한 책을 몇권 만들었는데도 빠진 장소가 있어서 이번에 책으로 또 만들어 보기로 했다.

역사 공부를 아이와 하다보면 다른 방법보다 책 만들기가 매우 유용한것 같다.

지난번에 다녀온 곳 중 아이와 정리하지 못한 곳을 위주로 책을 만들어 보았다.

천마도의 발견으로 천마총이란 이름을 갖게된 천마총과 신라의 연표를 만들고 신라 왕들의 이름을 한번 쭉 읽어보았다. 연표는 책을 만들때 마다 넣는편인데 왕의 이름을 몇번 읽어서인지 이젠 어려워 하지 않고 중요한 업적의 왕들은 순서를 아는듯하다.

 



 



 안압지와 포석정~



 불국사는 정리할것이 많다고 생각해서 항상 밀어 놓다보니 정리가 안된곳중 하나이다. 이번엔 간단하게

불국사의 석가탑과 다보탑도 알아보고~



 분황사와 경주 민속 공예촌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국립경주박물관의 주요 문화재를 알아보고 경주 박물관의 워크지를 인터넷에서 찾아 접어 붙였다.

워크지는 두어번 풀어 본것 같은데 아직도 모르는게 50%~

이래서 한두번가서 아는것이 아니란걸 더욱 알게된다.



 우리가 다녀온 곳중 이책에 실린곳의 입장권을 모아 붙여보았다.



 

한지를 이용한 표지까지~

 

 

마주보는 한국사를 계속하여 읽으면서 체험학습을 다녀온 곳에 대한 정리의 중요성을 많이 느낀다.

직접 유물을 보고 역사를 느끼는것도 중요지만 책을 읽고 정리하는것 또한 매우 중요한 작업의 하나가 아닐런지~

이러한 점에서 마주보는 한국사 교실은 우리 모자에게 많은 도움을 주는 책인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