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2 - 고대 왕국들이 서로 다투다 (300년~650년) 마주 보는 한국사 교실 시리즈 2
박미선 지음, 장선환 그림 / 웅진주니어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주보는 한국사 교실은 지금까지 보아온 다른 초등학생용 역사책과는 달리 조금더 역사적 사실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책이 아닌가 싶다.

내가 많은 초등용 역사책을 읽어본것은 아니지만 역사를 좋아하는 아들덕에 시중에 나온 이런 저런 역사책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 이 책은 여타의 다른 책보다는 많은 부분에서 디테일한면이 보인다. 이러한 장점이 엄마의 눈높이에는 수준있다고 생각되기도 하지만  책을 읽다 잠시라도 한눈을 팔면 내용이 어려워지거나 또는 용어가 생소해서 글의 문맥을 다시 읽어야 이해될때도 있는것 같다.

 

마주보는 2권은 한반도의 고대왕국의 기틀을 마련하는 삼국의 성립과정이 설명되어있다.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까지..

가야는 고대 국가로 성장하지 못하고 연합체로 사라졌지만 가야에 대한 그러한 설명까지도 자세하게 되어있다.

고대국가로서의 기틀을 마련한 삼국이 한강을 차지하기 위한 노력과 한강을 차지한 나라들이 전성기를 누릴 수 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 아들과 이야기를 나누었다.

국가의 기틀을 마련해 나간 삼국을 읽어나가다 보니 공통적으로 알아야 할것들이 많다.

그래서 삼국의 공통점을 워크지로 만들어 풀어보았다.

 

 

 

 

  워크지를 풀다보니 내 학창시절은 그냥 무조건 외웠었는데 책을 읽고 풀어가는 아이는 생각을 해서 풀어가는것 같다.

 

삼국의 대표적 종교인 불교를 보다 탑이 나오자 4학년 2학기에 배운 탑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았다.

역사 유적지를 다닐때마다 탑을 볼때가 많았는데 탑의 의미도 알아보고 시대별로 탑에 대한 책을 만들어 보기로 했다.

마주보는에 나오는 삼국의 탑들~ 분황사 모전석탑이나 익산 미륵사지~ 정림사지등은 직접 가서 보아서인지 책에나온 사진만 보고도 잘 알아 맞춘다.

 



 교과서에 나왔던 탑 12개를 프린터로 뽑아 책을 만들었다.

각각의 탑을 붙이고 특징을 써보았다.

.

완성한성된 책을 펼쳐보니 이런 모습이다. 신라 후반의 탑이 많다.



 



 그리고 마지막 페이지에는 탑의 명칭을 알아보았다

 책을 완성하고나서 겨울방학 숙제로 낸다고 즐거워 한다.

책의 장 중간중간에 쉬어가는 페이지 형식의 글이 아이의 흥미를 많이   불러일으키는듯하다.

아하 그렇구나라는 꼭지의 세계여러나라의 성곽의 모습을 보더니 우리의 성곽과 차이를 알아보고 싶어했다.

이번엔 우리의 성곽을 정리해 보기로 했다. 

 

 

 

 

 

 우리나라 서울의 성곽도를 붙이고 성곽에 대해 알아보았다. 찾아  보니 서울의 성곽은 조선의 성곽이다. 책의 시대적 배경은 아니지만 흥미를 가질때 알려주는것도 좋은것 같아 정리를 해보았다.

 

 



 



 



 

 

 이 책은 이제 5학년이 되는 울 아들에게는 조금 어렵나보다. 정독을 한다기 보다는 중간중간을 펼쳐서 자기가 아는 부분만 읽어본느듯 하여 책을 읽어주기로 마음먹었다. 한동안 아이에게 책을 안 읽어주었는데 이책은 아무래도 아이와 함께 읽어야 할것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