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수 한국사 1 - 한국사의 운명을 가른 최고의 맞수 대결
이희근.이정범 지음, 김대규 그림, 권태균 사진 / 끌레마주니어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맞수라는것은 사람에게있어 미묘한 긴장감을 형성시키는 단어인듯하다.

맞수 즉 라이벌은 인생에 있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간에 사람을 발전시키는것 같다.

 

이책에서의 맞수 12명은 우리가 한번쯤은 들어본 인물들이다. 시대가 그들을 위대한 인물로 만들었는지 개인이 그들을 역사에 남을 인물로 만들들었는지는 각각다르지만 서로의 맞수들도 그들을 역사에 기리남을 인물로 만들어주는 촉진제 역활을 했음은 부정할수 없을것같다.

 

다만 역사의 기록에서 승자의 관점으로 서술되어진 역사서를 많이 보고있는 우리로써는 패자의 진실이 궁금하기도 했다. 이 책은 그런점에서 승자뿐만 아니라 패자에 대해서도 객관적으로 서술하였고 무엇이 승자와 패자로 나뉘는 기점이 되었는지를 쉽게 풀어 설명해주고 있다.

또 그 인물들이 살았을때의 시기를 연대표로 나타내주어 두 인물의 이야기를 읽기전후 시대상 또한 한 눈에 알기 쉽게 그려주었다. 책을 읽어가면서도 그림과 사진으로 책을 읽는 아이가 쉽게 이해하게끔 도와주고 있다.

 

12명의 맞수 이야기를 읽으며 아이에게 지금 현재 자신의 맞수로 생각되는 사람이 누구냐고 물었다. 한 친구 이름을 대며 시험을 봐서 평균을 비교하고 내기를 하는 라이벌이 있다고 했다. 좋은 친구이자 라이벌이고 지난 중간고사에서는 졌지만 기말고사에서는 꼭 이기고 싶다는 이야기까지~ 갑자기 친구 이야기를 주저리주저리 늘어놓았다. 

 

책을 읽고 아이와 12명의 인믈중 두사람의 맞수를 정리해 보기로 했다.

요즘 조선이야기에 빠져있는 아이는 이성계와 최영을 정리해보고 싶다고 했다.



 

 



 



 



 태조 이성계에 대해 적고 위화도 회군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는 위화도 회군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 보았다. 예상외로 이성계가 배신자라고 썼다. 명과 싸워서 이길수도 있었다고~



 지난주 동구릉에 갔다 건원릉에 들렸었다. 그때 억새를 보며 신기해 했는데 오늘 최영장군의 묘가 적분이란것이 흥미로웠는지 두 사람의 묘를 정리해서 써보았다.



 건원릉의 억새이다.멀리서 찍어서 위만 보인다.



 정자각 앞에서~



 최영장군의 업적과 고랴말 충신들에 대해 적어보고 두문불출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완성된 이성계 vs 최영   ^^



 

맞수에서 시작한 이성계와 최영!!

지금까지 역사책과는 다른 형식의 이책은 아이 뿐 만 아니라 나에게도 정말 흥미로운 책이라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