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가네시로 카즈키 지음, 김난주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스기하라는 재일교포3세다. 그는 일본에서 태어났고 일본에서 자랐으나 조선 민족 학교를 다닌 조선인이다. 아니, 한국인이다. 하와이의 매력에 푹 빠져 버린 스기하라의 아버지가 국적을 조선에서 한국으로 바꾸면서 그도 따라 바꾼 것이다. 그러나 과거에 얽매이지도, 현재를 회피하지도 않기에 마음만 먹으면 국적을 바꿀 수도 있는 그는 어디에도 속해 있지 않으면서 어느 곳에나 속할 수 있는 자유의 몸이다. 국적을 바꾼 뒤 민족 학교로의 진학을 포기하고 일본계 고등학교를 택한 스기하라는 옛 친구들에게서 민족의 반역자라는 불명예를 얻었고, 일본인 친구들에게서는 이지메를 당하지만 독불장군처럼 당당하기만 하다.

“넌 민족의 반역자!”라면서 명치를 걷어찼다. “너 같은 놈은 뭘 해도 안돼” 라면서 머리를 툭툭 쳤다. “넌 매국노야!” 라면서 또 따귀를 때렸다. 나는 ‘매국노’의 의미를 알 수 없었다. 물론 글자의 뜻은 안다. 하지만 내가 매국노라고는 도저히 생각되지 않았다. 감각적으로는 알고 있었지만 내가 어째서 매국노가 아닌지 말로 표현할 수는 없었다. 그때 나 대신 내 기분을 표현해준 녀석이 있었다. 교실 뒤쪽에서 누군가 악을 썼다. “우리들은 나라라는 것을 가져본 적이 없습니다.”

그러나 그런 그에게도 마음을 뒤흔드는 사랑이 찾아오게 되고, 일본인인 사쿠라이와의 밝고 경쾌한 이야기들이 전개되지만 그로 인해 민족 차별의 문제점이 드러난다. 결국 조선인의 피는 더럽다는 사쿠라이와의 연애는 더 이상 진전되지 못한 채 깨지고 만다.

“그녀는 차별 같은 거 할 여자가 아니라고 생각하면서도 하지만 난, 결국은 그녀를 믿고 있지 않았었나 봐요. 가끔 내 피부가 녹색이나 뭐 그런 색이면 좋겠다고 생각해요. 그러면 다가올 놈은 다가오고 다가오지 않을 놈은 다가오지 않을 테니까 알기 쉽잖아요.”

그러나 그와 그녀의 러브스토리는 끝난 것이 아니다. 이제껏 온전히 자신만의 길을 내달렸던 스기하라는 자신의 삶은 물론 사랑도 결코 포기하는지 않는다. 그는 앞으로 어떤 미래가 펼쳐질 지 모르지만 그래도 계속 나아갈 것이다.

“이제는 더 이상 나를 좁은 곳에다 처박지 마. 나는 나야. 아니, 난 내가 나라는 것이 싫어. 나는 내가 나라는 것으로부터 해방되고 싶어. 나는 내가 나라는 것을 잊게 해주는 것을 찾아서 어디든 갈 거야.”

이 책은 단순한 듯 하면서도 미묘한 심리적 갈등을 빚게 만드는 사건들을 심어 놓음으로써 발단, 전개, 절정, 결말로 이어지는 구성의 일반적인 연애소설과는 다르다. 특별히 구성에 얽매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이어나가는 가즈키의 깔끔하고 간결한 문체, 특유의 유머러스한 말투로 읽는 이로 하여금 무거울 수도 있는 주제 – 재일교포들이 겪는 소외감, 무관심, 치욕 등 – 들을 가볍게 다루면서 마지막 장을 넘길 때까지 유쾌함을 잃지 않는다. 가네시로 가즈키식 유쾌함에 빠져들고 싶은 분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