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서
텐진 갸초(달라이 라마).빅터 챈 지음, 류시화 옮김 / 오래된미래 / 200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를 용서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나만 하더라도 나를 상처입히고 아프게 한 이들을 진정으로 용서한 일은 없는 것 같다.                           

'뭐 그럴수도 있지' '내가 그 사람 입장이라면 이해할만도 하지'  나 스스로 나를 위로 한 적은 많았지만 그들에 대해 진정으로 용서를 한건 아니다.

솔직히 이 책을 읽기 전까진 굳이 용서라는 단어에 대해 깊게 생각하지도... 관심도 가지지 않았었다.

일본만 예를 든다치면.. 옛날 우리가 당했던 수모를 생각하면 차마 '용서'라는 말과 그 나라를 연관시키는 것 자체도 이해가 안됐었다. 당한만큼 갚아줘야 한다까지는 아니더라도 그 나라만 생각해도 화가 나고, 일본인, 일어, 일식 등 일본과 관련된 건 모두 싫었으니 말이다.

그런데 달라이라마는 티베트인을 학살한 중국을, 중국인을 미워하지 않느냐는 빅터챈의 물음에 이미 그들을 용서했으며, 그들에 대한 미움과 분노 등 부정적 감정은 없다고 말한다.

전혀 이해가 되지 않았다. 국민의 한사람인 나도 이렇게 분노하는데... 티베트의 지도자인 그는 왜 분노하지 않지? 어떻게 그들을 용서할 수가 있지? 진정으로 용서를 하긴 한걸까? 달라이라마의 말에 절대 공감하지도... 이해하지도 못했다. 오히려 그를 의심했을 정도였다.

그러나 달라이라마의 말 한마디, 행동 하나 하나에 그 모두가 진실임을... 그의 마음에 한치의 거짓도 없음을 알게되었다.

달라이라마는 말한다. 너와 나는… 우리는.. 서로 개성도 틀리고 생각하는 것도 틀린.. 모두 제각각인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떨어질래야 떨어질 수 없는… 아무상관 없을 듯 싶지만 안보이는 실로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서로 서로 엮어있다고…

그래서 남에게 피해를 주고 괴롭히는 등 해를 가한 사람에게는 또 그만큼의 아픔이 생긴다는 상호연관에 대해 역설하면서, 나의 아픔보다 다른 사람의 상처를 어루만져주고 보살피면서 사랑과 자비의 마음으로 그들을 대한다면 결국에는 내가 행복해진다고 한다.

어쩌면 내가 행복해지기 위해서 용서 해야하고 사랑과 자비로 대해야 한다는게 이기적이라 생각될지도 모르지만 그게 뭐가 그리 대순가... 나도 행복하고 당신도 행복해진다는데...

어려운 일이겠지만... 많이 어려울지도 모르지만... 한번 실천해볼 생각이다. 지금 당장....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1-10-29 02: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