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호로 역 다다 심부름집 - 제135회 나오키 상 수상작
미우라 시온 지음, 권남희 옮김 / 들녘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한번 읽기 시작하면 손에서 놓기 힘든 책이 있기 마련이다. 무료하게 보내던 점심시간을 의미 있게 보내자 싶어 읽기 시작한 이 책이 내게는 그러했다. 짧은 점심 시간이 아쉬워 초침이 째깍째깍 거리는 소리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며 마음을 졸였지만, 결국은 점심 시간을 훨씬 초과한 후에야 겨우 손에서 놓을 수 있었던 마호로역 다다심부름집은 오랜만에 만난 유쾌한 책이었다

보통 심부름센터를 운영한다고 하면 자연스레 검정 양복을 차려 입고 빡빡 민 머리가 특징인 깍두기 아저씨들을 연상하곤 하는데, 이곳 마호로역 심부름센터의 다다는 덩치만 커다랄 뿐 순박하고 소심한 30대 중후반의 평범한 아저씨라는 점이 꽤나 신선하게 다가왔다. 남들이 하기 싫어하는 귀찮고 시답잖은 일들을 대신 처리해 주고 받는 일당으로 하루하루를 연명하고 있는 이혼남 다다, 가슴 한 켠에 어두운 기억을 간직하고 있지만 겉으로는 평온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이 남자의 삶에 괴짜 교텐이 끼어들게 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교텐은 다다의 고등학교 동창생이다. 3년 넘게 그의 목소리를 들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말이 없던 교텐의 엉뚱함이 얄밉기도 하고, 그의 목소리도 궁금했던 다다는 교텐에게 장난을 치게 된다. 재미 삼아 시작된 장난이 교텐의 새끼 손가락이 잘려나가는 큰 사고로 이어지게 되자 당황한 다다는 사과할 엄두도 내지 못한 채 졸업을 하고 만다. 그러던 어느 날 다다의 눈 앞에 교텐이 나타난다. 그것도 예전의 과묵한 모습의 교텐이 아닌, 잠시도 쉬지 않고 떠들어대는 수다맨의 모습으로 말이다.

그렇게 그들의 예상치 못한 동거는 시작되었다. 서로에 대한 기억이라곤 그 사건이 전부인, 말 한마디조차 나누지 않았던 그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게 될 정도로 따뜻한 우정을 만들어 내기까지의 이야기는 책에서 잠시도 눈을 떼지 못할 정도로 흡입력이 있었다.

사람은 누구나 한가지 이상의 상처를 안고 살아간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처가 아무는 사람이 있는 반면 다다와 교텐처럼 쉽사리 치유되지 않는 상처를 지닌 사람도 있다. 그래서 서로를 보듬어 줄 여유가 전혀 없는 그들이 함께 살기 시작했을 때 서로의 상처가 덧나지는 않을까 걱정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사람들 사이에서 이리저리 부딪쳐가며 살을 맞대고 살다 보면 어느덧 새로운 희망을 발견하게 되듯, 그들 역시 심부름집을 찾아오는 사람들과 부딪치며 지내는 동안 어느 순간 서로의 상처가 조금씩 아물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사람 냄새 나는 소설을 읽을 때면 느껴지는 가슴 뭉클함이 좋아 그런 류의 소설을 일부러 찾아 읽는 내게 이 책은 안성맞춤이었다. 사람들 사이의 정이 그리울 때, 내 속에 감추어둔 상처가 조금씩 쑤시기 시작할 무렵 이 책을 읽어보자. 어느덧 가슴의 응어리가 조금씩 녹아 내리는 걸 느낄 수 있을 테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