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멋대로 키운 아이 더 크게 성공한다 - 내 아이 성격에 꼭 맞는 성공 교육법
윤태익 지음 / 더난출판사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니, 제 멋대로 아이를 키우라니, 그렇지 않아도 제 자식만 애지중지하는 부모들이 판을 치는 마당에 그런 부모들을 부추기는 이런 책들까지 나오다니 말세군, 말세야. 아이를 키우는 방식이 아무리 가지각색이라지만 이건 너무 하잖아. 이 사람, 대체 어떤 말들을 쏟아낼지 기대가 되는군. 

 

하하. 이 사람, 신기가 있나? 아니면 제목에 태클 거는 사람들이 많았나? 프롤로그에 제목에 대한 의미를 명시해뒀네? 제 멋대로는 내가 생각한 방임이나 방치가 아닌 타고난 본성을 얘기하는 거라는군. 아하, 그렇다면 아이만의 본성을 최대한 살려 키워주라는 말인가 본데. 아무리 별의 별 사람들이 가득한 세상이라고는 하나, 아직까진 상식이 통하는 사회라는 걸 잊고 있었군.

 

그럼 이제 저자에 대한 오해도 풀렸으니 마음 편히 저자의 교육법 강의를 들어볼까.

 

저자는 아이마다 타고난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아이의 말 한마디, 행동 하나 하나에 주의를 기울여 우선 자신의 아이가 어떠한 본성을 타고 났는지를 파악하여 아이의 유형에 맞게 대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이의 본성을 크게 세가지로 나누면 지적 욕구가 강한 머리형, 타인과의 관계에 많은 관심을 갖는 가슴형, 힘과 본능 중심의 장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각의 특성이 잘 설명된 아래의 예를 살펴보자.

산을 오르기 위해 세 사람이 한 곳에 모였다. 산 정상에 오르는 것이 그들의 목표지만 산 정상을 향해 나아가는 그들의 방식은 모두 제 각각이다.

머리형의 기질을 갖고 있는 사람은 합리적이고 체계적이어서 등산로는 몇 개인지, 산을 오르내리는 데 걸리는 시간은 얼마인지, 날씨는 어떠한지 등 상황분석이나 정보수집에 가치를 두고 산을 오른다. 사람들과의 어울림을 중요시 여기는 가슴형 사람은 함께 가는 사람이 누구인지, 컨디션은 괜찮은지, 자신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은 없는지 등을 세심하게 따져 다른 사람들과 함께 즐기며 산을 오른다. 장형인 세 번째 사람은 본능 중심으로 행동하며, 사람들을 통제하고 이끄는 등 리더의 자질을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렇듯 사람마다 목표하는 바는 같아도 그 목표를 향해 가는 방식은 모두 다름을 이해하고,사람의 본성 또한 같을 수는 없음을 인정하라고 저자는 얘기 한다. 아이들을 키우는 데 있어서도 각각의 특성을 제대로 인지하여 아이들이 자신의 본성을 잃지 않고 가꾸어 나갈 수 있게 부모가 제 역할을 다 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변을 살펴 보면 아이에 대한 기대치를 지나치게 높게 잡은 부모들이 자신의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아이들을 윽박지르는 모습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그들은 자신이 이루지 못하고 포기해버린 꿈들을 아이가 이루어주길 기대한다. 그렇기에 아이의 기준에서 아이가 좋아하는 일을 선택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기준과 잣대를 이용해 아이들에게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이다. 그런 부모들은 아이의 성격은 고사하고 자신의 뜻대로 따라주지 않는 아이들에게 화를 내고 짜증을 낸다.

이제 그만 부모의 이기적인 욕심은 버리고 아이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바라보고 보듬어주면서 아이가 자신이 좋아하고 잘 하는 일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나침반 역할을 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

 

몇 해 전, 나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한창 유행하던 MBTI, 애니어그램 등 성격 테스트 프로그램을 받은 적이 있다. 테스트 할 때마다 다르게 나온 결과를 보며 전 세계 사람을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설명하려는 자체가 어불성설이라 느끼고 더 이상 검사를 받지 않았었다. 이 책을 읽어 내려가면서 느낀 기분을 얘기하자면 테스트를 끝내고 결과를 받아 들었을 때의 허무함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애니어그램에 기초를 두고서 쓴 책인 것도 그러하고 누구나 한번쯤 들어 봤음직한 식상한 이야기들의 나열, chapter 마다 제목만 다를 뿐 같은 내용의 반복이 시중에 나와 있는 자녀 교육서들에 아쉬움을 느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이론을 들어 자신만의 방법론을 내세운 저자의 자신감은 도대체 어디에서 나오는 것인지 이해하기가 힘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