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의 힘 - 독일 최고의 과학 저널리스트가 밝혀낸 휴식의 놀라운 효과
울리히 슈나벨 지음, 김희상 옮김 / 가나출판사 / 2016년 7월
평점 :
절판


 

라디오에서 부모가 짜 준 일정대로 살며 공부하던 모범생이 대학생이 되어 방황하다가 부모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다는 이야기를 한다. 유품 정리사의 조언은 목표에만 매달려 살지 말고, 우울증이 오면 작은 일이라도 매일 해야 할 일을 거르지 말고 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직장 동료들은 나더러 맨탈이 강하다고 했다.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힘껏 살아온 내게는 운이 좋았는지 대부분 한두 번 실패하면 극복하고 목표를 이루었다. 우울증이 내게 올 틈을 주지 않고 살았다. 늦게 시작해 나보다 높은 사회적 지위에 오른 아내도 번 아웃이 오지 않았지만, 몇 번씩은 그냥 아무것도 하지 않고 쉬고 싶다.”라고 한 적이 있다. 잘 극복해 주었으니 다행스러운 일이다.

이런 생각이 들어 예전에 읽었던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의 힘을 공유한다. 혹시라도 삶에 지쳐있다는 느낌이 온다면, 도움이 되길 바라며…….

2024.2.26.()

 

2017.8.9.()에 쓴 글이다.

책을 덮고 이틀이 지나 독서 노트를 쓴다. 전체 흐름을 연결할 수 없다. 목차를 다시 본다. 메모와 밑줄 친 문장도 다시 본다.

김정운은 추천 글에서 우리는 바쁠수록 스스로가 중요한 사람이라고 착각한다. 그러나 그러다가 한 방에 훅 간다, ‘독일 사람들은 78월이면 죄다 어디론가 떠나 도시는 텅텅 빈다라고 한다. ‘그래도 독일은 안 망한다.’, ‘죽도록 일하는 우리와 비교해 여름 내내 놀다 오는 독일의 생산성이 훨씬 높다라고 한다. 그러면서 쉬어도 된다. ‘휴식은 창조적 과정의 일부다라고 말한다.

저자 울리히 슈나벨은 휴식이란 경제적인 이해관계에 따르지 않고 그 자체로 가치를 가지는 활동으로 자기만의 시간이라고 정의한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의 힘우리는 왜 날마다 바쁜가에서 우리가 시간을 얻게 만드는 새로운 기술은 그게 어떤 것이든 우리 활동의 리듬과 흐름을 가속한다. 결국, 새 기술은 우리에게 더 많은 시간을 선물하는 것이 아니라, 일거리만 더욱 부풀린다라는 제레미 레프킨의 말을 인용한다. 기술의 발달로 순수 근무시간(평생에 걸쳐 합산한 것)이 줄어든 대신 학습에 들어가는 시간은 수직으로 상승해 여가는 거의 변하지 않았음을 밝힌다. 파킨슨은 우리가 기술로 시간을 절약하는 그만큼, 우리의 욕구와 요구는 증가한다라고 한다. 휴식을 누리는 기술은 자유 시간을 얼마나 많이 가지고 있는가에 달린 게 아니라, 태도의 문제라고 단언한다.

첫째, “우리는 자기 시간의 주인이 되어야 한다.” 업무량의 정도보다는 스스로 결정할 수 없다는 게 더욱 우리를 힘들게 만들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다. 내가 비교적 일로부터 스트레스를 덜 받는 명백한 이유의 근거다. 둘째, 선택의 폭이 크면 클수록 구매를 자극하기보다는 기회비용만 커지고 오히려 의욕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고 스트레스만 치솟게 한다. 백화점이나 마트에서 아내를 따라다니는 것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일로 체감할 수 있다.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 더 나은 대안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것을 포기할 줄 알아야 한다.

 

정보 홍수에 휩쓸리지 않는 법에서 디지털 네트워크, 잡담, 전화는 업무 시간을 단절시킨다. 특히 디지털 네트워크와 오프라인의 균형을 잡으라 한다. 신경생리학적 관점에서 작업기업과 장기기억을 설명하며 작업 기억을 향상하려면 일의 우순 순위를 정하고 일과 상관없는 뭔가 중요한 생각이 떠오르거든, 나중에 알아볼 수 있게 메모해두고 하던 일을 하라. BC 5세기경에 글쓰기를 두고 소크라테스가 기억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을 소홀하게 하고 외부의 도움에만 의존하게 한다고 비판했으며, 15세기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에 대해 지배층은 공부하고 연구하는 지성인의 게으름만 키울 뿐이고 결국 인간의 정신을 허약하게 만들 것이라 비난했다. 독서얼마나 인간을 이해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레퍼토리이며, 상상력의 왕국이다라는 울프의 말로 정보의 홍수에서 벗어난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의 가치에서 우리는 잠을 자면서도 배운다라고 한다. 수면의 단계를 설명하며 수업시간을 8시에서 9시로 늦추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라고 한다. ‘낮잠은 창의성을 높여 주는 힘이 있음과 명상은 잡념을 사라지게 하는 기적을 만든다라고 말한다. ‘비워야 새로운 영감을 얻을 수 있다라고 강조한다. 디폴트 네트워크(공회전 네트워크)에 대해 아무런 목표 없이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게 더 많은 두뇌 영역을 활발히 활동하게 만든다는 사실은 우리가 일상에서 경험하는 번쩍하는 깨달음을 설명하는 결정적 실마리를 준다.”라고 한다. 나도 이 문장을 읽으며, 잠을 자려고 누우면 아이디어가 떠올랐으나 메모하기 귀찮아 놓친 것들에 대한 추억을 떠올린다.

 

우리를 몰아붙이는 가속화의 세계에서 우리가 진정한 행복을 누리지 못하게 만드는 유일한 것은 성공하고야 말겠다는 야심이라고 지적한다. 시계 발명을 증기기관의 발명보다 비중 있게 판단하고 우리가 사는 정신없이 바쁜 사회를 만든 핵심 기제로 보는 시각을 소개한다. 풍요를 추구할수록 커지는 불안은 마음을 비우고 욕심을 덜어내야 한다.

 

가속화 사회에서 자신을 지키는 법에서는 서두르는 습관과 불안감을 인정하고, ‘낯선 문화로 여행을 떠난 보는 일은 시간과 휴식을 다루는 다른 방식을 만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푸른 자연에서 자신의 장점을 찾아내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 일정을 추가하며, 몰입의 순간이 주는 행복도 경험해보고, 혼자 있는 시간을 즐길 줄도 알아야 한다고 제안한다.

 

일상에서 더 많은 휴식을 누리는 기술에서 휴식을 누리기 위한 태도 세 가지를 메모한다. 첫째, 내외적인 저항을 감지하고 알아내라. 둘째, 거절하는 법을 배워 실천하라, 셋째, 내 인생의 나침반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깨달아라. 그리고 자주 걸어라.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의 힘은 가나출판사에서 20167월에 초판을 내놓았고, 20173월 초판 5, 본문 331쪽 분량을 읽은 거다. 책을 읽었지만 그래도 일이 있는 게, 비중 있는 일을 해낸다는 게 의미 있지 않은가 생각한다.


https://brunch.co.kr/@grhill/2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