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무덤에서 춤을 추어라
에이단 체임버스 지음, 고정아 옮김 / 생각과느낌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내 무덤에서 춤을 추어라 라는 제목을 보고,굉장히 궁금증이 생겼다.

내무덤에서 춤을 추어라 라니 왠지 약간 으스스하면서도 슬플것 같았다.

무덤이라는 제목에서 나는 늙은 사람들의 슬픈 이야기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왜 그런 생각을 했을까? 무덤이라는 제목에서 죽음이라는 단어가

더오르고,죽음하면 생이 얼마 남지 않은 늙은 사람들이 떠오르는 연상기법이

아마 그런 생각을 하게 한것 같다.

그런 생각을 여기다 왜 쓸까? 약간 옆길로 샌것 같다.

다시 본론으로 들어가서, 내무덤에서 춤을 추어라는 제목에서 느껴지는 그런

 으스스함은 없었다.

하지만,약간의 슬픔과 글 전체에 깃들어 있는 청소년기의 질풍노도의 시기라는

단어처럼 어딘지 불안하고,반항적인 그러면서도,삶의 번뇌와 고뇌가 느껴지는

청소년기의 성장통이 이글의 전체적인 분위기였다.

나는 이책으 읽으면서 ,주인공인 핼과 배리의 사랑이야기가 데미안의 분위기와

왠지 비슷함을 느꼈다.주인공인 핼과 배리의 동성애와 우정의 감정들이 데미안의

싱클레어와 데미안의 그런 관계와 이야기가 비슷함을 느끼게 했다.

하지만,데미안과는 많이 다르다.

주인공 핼과 배리의 동성애가 주 주제라고 하는데,동성애라기 보다는 나는

우정이라는 단어가 더 많이 느껴졌다.

둘사이의 사랑은 동성애라는 어떤 외설적이거나 문란한 느낌은 느껴지지 않고,

묘하지만,우정같은 건전한 아름다운 사랑이 더 많이 느껴지는 글이었다.

 

주인공 핼은 어느날,바다로 보트를 타러 갔다가,배가 뒤집혀서 물속에 빠지는 상황에

놓인다.그때 한소년이 그를 구해주고,자신의 집으로 데려가서 목욕도 시키고,

옷도 주며,친하게 된다.

그소년이 배리인데,배리는 아버지가 돌아가시고,어머니와 함께 아버지의 가업인

레코드 가게를 하며,살아간다.

그는 영문학의 자질이 있다며, 상급학교로 진학할것을 권하는 선생님의 충고를 듣지

않고,학교를 그만두고,가게를 운영한다.

영문학 공부를 권유하는 선생님의 말씀에 공부를 할지 취직을 할지 망설이는 핼은

그런 여러가지에서 많은 닮았다고 느끼며,배리와 아주 가깝게 된다.

둘은 어느새 친구이상의 감정으로 발전하지만,배리가 핼의 여자친구 카리와 함께

같이잔것을 계기로 핼과 배리는 대판 싸운다.

핼은 배리에게 돌을 던져 가게의 거울을 깨뜨리며,난장판을 만들며,가게를 나서고

배리는 핼을 뒤쫓아 가다가 ,나무를 들이받는 사고로 죽는다.

이렇게 해서 핼은 배리의 가족들과 사이가 나빠져 배리의 시체도 보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핼은 배리와의 약속인 자기가 만약 죽으면,내 무덤에서 춤을 추어달라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 밤에 몰래 무덤에서 춤을 추다가 경찰에 채포된다.

경찰에 기소되어  사회사업가에 의해 그의 행동에 대한 이유를 조사를 받지만,

말하지 않다가 서서히 모든 사실을 이야기하며,그런 이야기 형식과 사회사업가의

조사서 형식으로 이책은 전개 된다.

 

이책을 읽고 나서,재미있다거나,재미없다거나 이렇게 단순히 말하기에는 뭐한

하지만,왠지 묘한 매력도 풍기는 소설이었다.

그러니까 재미잇지도 않고,그렇다고 재미없지도 않고,하지만 전체적으로

게속 책을 읽게 되는 그런 매력도 있었다.

데미안을 읽으면서 느껴지던,청소년기의 이유없는 고민이나 고뇌가 이책에서도

주인공인 핼과 배릴를 통해서 느껴졌다.

이책에는 동성애가 주제라고 하는데,나는 동성애라는 외설적인 느낌보다는

아주 끈끈하고 찐한  우정이라는 느낌이 더 들었다.

두 청소년의  인생에 대한 고민에서 우리들에게 인생에 대한 깊은 고뇌를 해보라는

메세지를 느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