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Q 사회지능 - 성공 마인드의 혁명적 전환
다니엘 골먼 지음, 장석훈 옮김, 현대경제연구원 감수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SQ사회지능
전에 EQ니,감성지수니 하는 말은 많이 들었다.
하지만,SQ사회지능이라는 말은 처음 듣는다.
'사회지능'을 대뇌이며 읽기 시작할수록 너무 잘 읽었다는 느낌이 들었다.
맨처음 이책이 속한 분야가 자기계발서라 내가 읽어본 계발서처럼,어떤 이야기나 우화를 소개한후,

작가의 주장을 이야기 하던방식이겠거니 하며 읽다가 전에 읽은 자기 계발서와는  너무나 다르게 과학적 실험방법과,사례들을 적으며,전개해나가는 방식이 다른책과는 다른 색다른 재미를 느낄수 있어서 좋았다. 

재미있는 과학책같은 느낌(지루한 과학책이아니라)이 들정도로 실험에 관한 사례가 사회지능의 이야기를 더욱 현실감있게 만들었다.
책이 두껍워서 지루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읽을수록 나오는 용어들이 전두엽이니,

안와전두엽이니 하며,무슨 의학서 같은 용어들이 등장해서 옛날 학교때의 사회책에서 읽을수 있는

인간과 사회에 대한 고리타분한 내용이 아니라,어쩌며 지루하게 전개해 나갈수도 있는 주제를  우리가 느끼는 감정들이 뇌의 어느 부분때문에 어떻게 느끼는지를 과학적으로 재미있게 설명을 해주었다.
재미있는 과학책과 사회책의 만남같았다.
우리의 의식을 주관하는 뇌에 로 로드(low road)와 하이 로드(high road)가 있는데,로 로드는 우리의 의식아래에 눈깜짝할 사이에 자동적으로 손쉽게 작동하는 회로로 예를 들어 잘생긴 사람에게 눈길이 가거나 말 속에서 가시를 느낄수 있는것과 같은것이고,하이 로드는 신중하게 조직적으로 단계를 밟아가면서  작동하는 신경계에 퍼져있는 회로로 우리의 내적인 삶을 어느정도 통제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잘생긴 사람에게 접근할 방법을 찾으려고 하거나 가시 돋친 말을 하는 사람에게 보기 좋게 대꾸하는 법을 찾아내고자 할 때 하이 로드를 이용한다.
사회에서 일어나는 일을 로 도드와 하이 로드로 설명하며,어떻게 하면,두가지를  조화롭게 잘 이용해 사회에 적용하는가 등을 사례와 실험소개를 통해 설명을 해서 이해하기도 쉬웠고,저자의 주장만 펼치는 것이 아니라 재미도 있었다.
그래서 나는 이책의 가장 특이하고,재미있는점이 여러 실험소개와 사례설명이라고 생각된다.
용어들이 처음접하는 거울세포니 측전두엽이니 해서 어려울것 같지만,용어만 생소하지 사회현상들의 사례를 설명하는 예들이 재미있고, 저자의 사회현상설명 이해를 더 쉽게 했다.
또한 무수히 많은 사회현상들을 짤막짤막하게 나누어 설명을 해서 지루함을 느끼지 못하게 했다.
그러면서,저자의 주장을 펼서 새로운 지식과 저자의 주장의 조화로 논술의 핵심을 바로 알게 해주었다.
개인적으로 사회인간형의 어두운유형의 3가지인,나르시스적기질,마키아벨리형,사이코패스형을 소개해주었는데,언젠가 TV에서 연쇄살인범형인 사이코패스형 기사가 생각나게 해서 재미있었다. 그리고,나는 어떤유형일까?,무슨문제는 없을까? 하며 자신의 성향을  비교해보게해서 반성을 하기도 ,안도를  하기도 했다.
삶을 긍정적으로 보는것과 사회에서 조화롭게 어울려 살아가며,남을 보는 눈을 따뜻하게 하는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도 느끼게 해주었다.
이책은 사회에 관한 현상소개를 실험과 용어 설명과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어 재미와 새로운 지식을 주며,사회생활을 어떻게 해야할지,어떻게 접근하며,남을 바라보는 태도는 긍정적으로 바라보아야한다는등 주장과 지식제공등을 조화롭게 배합되어,재미를 주었다.
사회지능이라는 제목에서 딱딱함을 느낀다면,내용을 읽어보라 !
재미와 지식을 한꺼번에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