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속의 서울 - 한국문학이 스케치한 서울로의 산책 서울문화예술총서 2
김재관.장두식 지음 / 생각의나무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서울은 우리나라의 수도이자,많은 사람들이 사는 국제도시다.

거대한 서울의 크기만큼 오래된 역사를 가진 서울의 모습을 문학속에서

찾아본것이 이책의 의도인것 같다.

서울의 개발된 문명과 600년의 오래된 역사에 비해 서울은 낭만적이고,

아름다운 추억보다는 삭막한곳,정서나 정이 메마른곳으로 생각되어진다.

그런편견데로 이책역시 서울의 뒷면의 서민들의 삶,어두운 서울의 모습이

거의 다를 차지한다.

사실 나는 문학속의 서울이라해서,문학이라는 뉘앙스에서 느껴지는 낭만과

추억을 떠올리며,왠지 색다른 서울의 모습을 기대했었다.

그리고,나는 서울에서 태어나 살았지만,다른사람들이 생각하는 서울의 삭막함이나,

사람들의 무관심보다는 내가 만난 사람들은 정많고,착하고 성실했었음을 느꼈다.

그래서,흔히 서울하면 부정적인 이미지를 떠올리는 삭막함과 생활에 찌든 모습들을

얘기하면,그렇게 동감이 느껴지지는 않았다.

(지금은 서울에서 살지 않지만,이곳이 오히려 서울보다 더 사람들의 인심이 나빴다.

자기들끼리만 오래 살아서 그런지,외지인에 대한 인심이 사납고,더 삭막했다.

그래도 서울은 약간 무관심해도 ,그렇게 매몰차게  굴지는 않았는데.......

글이 약간 주제에서 벗어난것 같은데...)

본론으로 들어가서 하여튼 서울은 나에게 있어서 그렇게 부정적인 생각은 안들어서,

이책속에 나오는 서울의 모습들에 그렇게 찬성하지는 않는다.

 

이책에 나오는 서울은 60년대에서 2000년대의 지금까지의 서울의 모습을 문학속의

글에서 찾아보며,서울의 모습을 그렸다.

60년대의 서울의 개발과 함께 서민들과 부자들이 함께 같은동네에서 살다가 개발이라는

이름으로 신시가지가 조성됨과 함께 부자들과 서민들이 사는곳이 분리되며,

빈부의 격차는 더욱 크게 벌어진다.

빈부의 격차와 함께 서울에 상경하는 농민들은 장미빛 꿈을 안고 ,새삶을 시작하지만,

현실은 그들이 꿈꿔왔던 삶과 너무나 멀어지며,서울의 하층민을 차지하며,가난하게

살아간다.

이런모습을 이호철의 [서빙고 역전풍경]의 소설과 김춘추의 [겨울밤의 꿈]의 시등에서  

그때의 연탄불을 피우며살다가 연탄가스에 중독되어 죽는 모습등을 이야기한다.

1970년대의 개발의 박차와 함께 서울은 많은 발전을 하지만,서민들의 삶은 재개발지구로

선택되어지면 살던곳에서 내몰리며 더욱 살아가기 힘들어진다.

그런서울의 모습을 신상웅의 [도시의 자전]조선작의 [영자의 전성시대]등을 통해서

셋방살이의 설움과 잘 살아볼려고 상경한 영자가 창녀로 전락해가는 모습등을 이야기한다.

1980년대의 경제적풍요는 있지만,삶의 질에서는 피폐한 서울의 뒷모습을 보여주는데,

부동산투기의 복부인,이웃에 대한 무괸심에 대한 모습이 나온다.

1990년와 2000년대의 놀라운 발전과 함께 강남과 강북의 차이와 진정한 인간미를 상실한채,

퇴폐와 향락에 빠진 서울의 모습등이 이순원의 [압구정동엔 비상구가 없다] 마광수의

[ 즐거운 사라]를 통해서 적나라하게 이야기 한다.

 

이책의 문학속의 서울은 우리의 대표도시 서울을 통해서,우리의 삶이 어둡고,삶에 찌들며

인간성을 상실해가는 모습을 묘사하며,우리가 올바로 살아가야할 모습을 생각해 보자는

뜻에서 이책을 집필한것 같았다.

서울의 화려함과 거대함속의 이면에 숨겨진 서민들의 삶을 문학을 통해 재조명했다는데,

큰의의가 있는것같았고,또한 색다르며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하지만,서울이 꼭 부정적이고 어두운 모습만 있지는 않은것이 아닌가?그래서 ,서울의 밝고

긍정적인 모습도 읽을수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도 남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