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 않는다는 말]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지지 않는다는 말
김연수 지음 / 마음의숲 / 201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부드러운 흰 색 바탕에 빨간 코끼리가 인상 깊게 그려있는 <지지 않는다는 말>. 누구에게나 힘이 되고 용기가 되는 말이리라고 생각된다. '약육강식'이 대표하는 우리 사회에서 이 보다 더 힘나는 말이 어디 있을까.

그러나 사실 이 책을 펼치기 까지 얼마나 힘이 들었는지 모른다. 개인적으로 위로를 받는 다는 것은 위로 받을 상황이 풍부하게 깔려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져 썩 유쾌하게 생각하지 않는 편이기 때문이었다. 어쨌거나 이왕 지사 책이 내 손안에 있으니 읽어보기로 마음먹고 펼쳐들었을 때, 생각보다 부담스럽게 다가오지 않아서 참으로도 다행이었다.

 

 

  김연수 작가를 몰랐다. 그가 누구인지 어떤 작품을 펼쳤었는지 잘 모르고 시작하였기에 나는 그에 대해 백지였고 조금 더 가감 없이 다가갈 수 있었다.

열정 가득한 그도 삶에서 성공을 맛보기도 했고 또 실패를 맛보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그 지난 시간들에 대해 우쭐해 하지도 않았고 대단히 여기지도 않았다. 또 회의적이지도 않았다. 지나갔던 시간들이 좋았고 슬펐고에 관계없이 이미 지나간 시간들이었고 그는 그것을 바탕으로 조금 우스개 농담과 함께 풀어나가며 자신에게 파이팅을 외쳤다.

 

그 파이팅의 대상이 작가가 되었건 독자가 되었건 에너지를 얻어가는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사실 파이팅을 외쳐주는 김연수 작가가 파이팅을 외치는 것이 아니라 그의 긍정적인 기운에 빨려들어 내가 어느 덧 동화되어 파이팅을 외치는 것이 아닌지 하는.

 

책을 읽다보면 어느 덧 깨닫게 될 것이다. 김연수 작가는 누구나 갖길 원하는 '긍정적'인 마인드를 갖고 있다. 긍정적인 마인드를 갖기란 사실 말처럼 쉽지 않다. 사람이기에 욕심을 부리고 기억을 하며 후회하고 슬럼프에 빠진다. 젊은 청춘들도 이러한데, 어느 덧 인생의 반을 바라보는 김연수 작가 정도의 나이가 되면 더더욱 회의적으로 변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김연수 작가는 노련하게도 자신의 나이를 숨기고 싶은 건지 혹은 젊은 청춘보다 더 뜨거운 열정을 가지고 있는 건지 이 책에서는 회의적인 삶에 대한 고찰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 책을 읽기 전 도입부에 나는 이렇게 언급했다. 위로를 받는 다는 것은 위로 받을 상황이 깔려있는 것이고 지지 않는 다는 말은 지는 상황이 깔려있는 것이라고.

하지만 책을 펼치고 얼마 되지 않으면 작가는 벌써 답을 제시 한다. 지지 않는 다는 말이 반드시 '이김'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이다. 마치 마라톤 결승점을 통해 들어오는 선수들의 순서와 관계없이 열렬한 환호를 보낸 것과 같이.

 

인생은 마라톤 같다는 말을 많이 쓴다. 오랜 시간 천천히 뛰면서 앞으로 많은 것을 보고 등 뒤로 많은 것을 보낸다. 숨을 헐떡이며 달리다 결승점을 통과하면 등수에 관계없이 자신에 대한 벅차오름과 박수 속에 희로애락이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을 느끼게 된다.

결국 지지 않는 다는 말은 그런 것이 아닐까 한다. 모두가 박수 받는 것. 어쨌거나 우리는 이미 출발선상에서 출발해서 달리는 마라토너니까 말이다.

 

 

  뜨거웠던 이번 여름에 나는 많은 것을 하고 싶었고 또 지난 시간들에 많은 것을 후회하고 괴로워했었다. 그러나 결국 달라지는 것은 없었고 앞으로 다가올 시간들이 남았다. 지금이라도 남은 시간을 알차게 보내기 위해서는 <지지 않는 다는 말>을 잊지 말고 단지 내가 마라토너일 뿐이라는 생각으로 한 번 해볼까한다.

 

빨간 코끼리처럼 온몸이 붉게 달아오를 때 까지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