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와서 보아야 술이나 먹고 흐지부지하는 것밖에는 사실 할 일이 없다는 것도 무리가 아닐 것 같기도 하지마는, 생각 하면 조선 사람이란 무엇에 써먹을 인종인지 모르겠다. 아침에도 한잔, 낮에도 한잔, 저녁에도 한잔, 있는 놈은 있어 한잔, 없는 놈은 없어 한잔이다. 그들이 이렇게 악착한 현실 앞에서 눈을 감는다는 것은, 그들에게 무엇보다도 가치 있는 노력이요, - P803

그리하자면 술잔밖에 다른 방도와 수단이 없다. 그들은 사는 것이 아니라 목표도 없이 질질 끌려가는 것이다. - P8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덤이다! 구더기가 끓는 무덤이다!’ - P695

‘공동 묘지다! 공동 묘지 속에서 살면서 죽어서 공동묘지에 갈 까봐 애가 말라하는 갸륵한 백성들이다! ’ - P698

‘공동묘지 속에서 사니까 죽어서나 시원스런 데 가서 파묻히겠다는 것인가? 그러나 하여간에 구더기가 득시글득시글하는 무덤 속이다. 모두가 구더기다. 너두 구더기, 나두 구더기다. - P6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스킷 - 제1회 위즈덤하우스 판타지문학상 청소년 부문 대상 수상작 텍스트T 7
김선미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과 사이에서 어려움을 느낀 사람들은 마음에 어둠이 생기고 그 어둠 속에 숨어버린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한다. 사회를, 사람을 떠나서는 살 수가 없는 것이다. 비스킷은 사람들 사이에서 숨어버린 사람들을 끌어올리는 이야기이다. 청력이 예민한 제성과 시력이 예민한 덕환, 그리고 한 때 비스킷이었던 효진. 이 세 명의 청소년들이 다른이들을 구하고 자신을 만들어가는 성장이야기이다.

우리 주변에도 비스킷이 많이 있다. 우리가 알지 못하는 곳에서 아파하고, 괴로워하다 사라져가는 이들이 마지막에 뉴스에서 발견된다. 방치된 비스킷들이 내 주변에도 있을 것이다. 미디어의 홍수라는 시대에 우리는 점점 소외되어 간다. 사람보다는 물건, 장소에 더 관심이 가는 세상이다.

책 속 문장처럼 "필요한건 어디로 나아갈지 갈피를 잡지 못하는 아득함을 함께 바라보고 손잡아 줄 수 있는 누군가"가 절실이 필요한 세상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스킷은 자신을 소외시키는 주변에 의해 처음 만들어진다. 세상에서 소외되면 많은 사람들은 자존감을 잃고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용기마저 잃고 만다. 그렇게 스스로 고립을 택하고 자신을 지켜 낼힘을 잃으면서 단계를 넘나들게 되는 것이다.
우리는 매일 스스로를 지켜 내기 위해 힘껏 노력하지만 꾹꾹 눌러 담았던 쓸쓸한 마음이 어쩔 수 없이 왈칵 쏟아지는 날이 있다. 그런 날에는 아무리 강한 사람이라도 모습이 희미하게 깜빡거린다.  - P217

그때 필요한 건 어디로 나아갈지 갈피를 잡지 못하는 아득함을 함께바라보고 손잡아 줄 수 있는 누군가다.
누구나 비스킷이 될 수 있다. 또한 누구나 비스킷을 도울 수 있다. 그 전제를 잊지 않으면 모습이 사라져도 서로를 믿고 존중하며 건강하게 서서히 회복할 수 있다. 그걸로 반은 성공한 거다. - P2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나톨의 작은 냄비 신나는 새싹 2
이자벨 카리에 글.그림, 권지현 옮김 / 씨드북(주)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누구나 작은 냄비 때로는 커다란 냄비를 가지고 있다. 그것이 작은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을 수 있는가, 아니면 넣지 못하는가 차이이다.
아나톨을 원치않은 냄비를 어느 날 갑자기 갖게 됐다. 떼어 내려고 노력했지만 실패하고 점점 움츠러 들었다. 그러던 아나톨에게 자신의 냄비를 보여주며 냄비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려주자 아나톨은 사람들과 어울려 살 수 있었다.
어떤 사람을 만나느냐, 내가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대하는지에 따라 아나톨처럼 숨을 수도 있고 내가 아나톨이 세상에 나온 것처럼 다른 아나톨을 이끌 수도 있음을 알려주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