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심3일 10번으로 영어 끝내기 : 기초 작심3일 10번으로 영어 끝내기
박지은 지음 / 랭기지플러스(Language Plus)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심삼일이라도 한달에 열번 일년에 120번만 결심하면 공부를 계속하게됩니다.지속적으로 영어에 재미를 붙이고 관심갖게끔 유도하네요.나이먹어하는 공부는 벼락공부보다 꾸준함이 승패의 관건입니다.국제화시대에 자식한테 무시당하지않고 잘 가르치기위해서 영어를 배워야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궁무진한 떡볶이의 맛 레시피팩토리 라이브러리 시리즈 8
레시피팩토리 라이브러리 지음 / 레시피팩토리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량식품이라고 학교앞에서는 사먹지말라던 빨강떡볶이가  시대가 지나면서 탈바꿈했네요.

떡볶이가  옛시대의 유물로 되서 십대지나면  찾아보기도 않을  시대가 올 줄 알았는데 아니네요.어릴 적 먹던 떡볶이가 어른이 되서도 곧잘 이젠 아이들과 같이 먹게 되거나 아니면 외식해서 저녁대신 때우게  되었어요..

떡볶이넣은 메뉴가 이리도 예쁘고 다양하게 나올지 몰랐네요.재료도 아주 다양하네요.

단순 군것질거리가 아닌 식사로 쓸만하게 메뉴가 진화해서 신기할 정도네요.다른 간식거리들처럼 다양한 소재과 모양이 맛깔스럽네요.

원래 궁중떡볶이는 고추장이 아니라 간장으로 맛을 내고 붉은 음식은 평민의 음식이라고 천히 여겼다는데 고추장의 맛은 누구도 저항할 수 없었나 봐요.

주부들이 건강식인 떡볶이의 요리법에 관심을 가지고   우리전통음식에도  친숙하게 되었으면 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털 엔진 견인 도시 연대기 1
필립 리브 지음, 김희정 옮김 / 부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을 읽으며 도시간의 약육강식이 현재의 전쟁과 똑같단 생각이 듭니다.어쩌면 작자는 지금도 벌어지는 강대국과 약소국간의 전쟁을 풍자하는 건지도 모르겠네요.북한과의 생존경쟁에서 한반도가 3차대전이 날수도 있다는데 인간성이 파괴되는 주인공들의 모습이 전쟁처럼 와닿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싸우는 식물 - 속이고 이용하고 동맹을 통해 생존하는 식물들의 놀라운 투쟁기 이나가키 히데히로 생존 전략 3부작 1
이나가키 히데히로 지음, 김선숙 옮김 / 더숲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식물을 연구한 일본인으로 식물도 생존경쟁과  살아남기위한 노고를 함을 보여준다.계절에 따라 꽃과 나무가  그냥 자라고 시드는 게 아니다.

 아름답지만 가시돋힌 이라는 말로 일컫어지는 장미의 가시는 단순히 시적인 표현을 위한 것이 아니라 방어와 공격을 위한  것이다. 식물계 힘의 균형은 언뜻보기에 아무 노력없이  유지되는 게 아니다.
 강자에게도 싸움은 쉬운 일이 아닌데 식물도 살아남기위해  고분군투한다.

 물이 부족할수록 뿌리가 성장한다고 하는데 가뭄이나 건기에 식물도 살기위해 몸부림친다.기회는 역경과 시련 속에 있다고 여기에 적응하면 역경은 순조로운 환경에서도 살아남고 새품종이 나오기도한다.
 가장 경이로운 것은 식물에서 항생제의 원료가 발견되어  과학이 발달한 것이다.
식물의 항균물질은 건강의 주역이기도 하지만 식물은 생존에 필요해서 만들어지는 것을 인간이 발견해서 이용한 것이다.다양한 효과가 있는 식물의 항균물질이 인간의 생존에 얼마나 지대한 영향을 끼쳤는지 의학사를 보면 안다. 생존을 위해 식물 자신도 강해지기위해 노력한다.한편으론 식물도 싸우며 공생한다.한 예가 콩과 식물과 뿌리혹박테리아와의 공생 관계이다.공생은 기생이 아니다.이것도  피나는 노력이 들어간다 .

어쩌면 인간은 조물주가 세운 세상에서 만물의 영장으로 식물과 동물의 처절한 생존싸움에서 수혜만 받는 존재가 아닌가싶다. 움직일 수 없는 식물도 이렇게 노력을 하는데 인간이 자기개발을 않으면 인간이라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 서울시 김형준 올킬 사회복지학 실전문제 / 최신 개정법령 - 서울시 사회복지직 시험 대비
김형준 지음 / 배움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복지학이란 분야가 다소 생소하긴하지만 현재 노령인구가 늘어나고 사회복지에대한 요구가 높아진 만큼 신개척분야라고 생각하면 될것같다.의외로 다양한 분야를 섭렵해야하는 것이 사회복지다.어쨌든 수험생에게는 정리잘된 책이 제일인만큼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