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요, 그 말이 어때서요? - 나도 모르게 쓰는 차별의 언어 왜요?
김청연 지음, 김예지 그림 / 동녘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시당초 작가가 기레기라니 선입견이 생긴다.
게다가 청소년권장도서라고 책을 반말로 쓰는 무례함이라니.
청소년을 유독 낮춰 보는 급식이란 표현을 문제삼으면서 정작 본인은 청소년들에게 반말을 일삼는 클라스가 기레기답다.

짭새라는 표현도 직업인을 비하하는 표현이라고 하는데, 국개, 판새, 떡검, 짭새, 철밥통 같은 은어는 특정 집단의 권위의식과 만행을 풍자하고 조롱하는 표현이지, 혐오나 비하하는 용어가 아니다. 특.히. 기레기같은 거. 집단을 비하하는 용어에 인권을 들먹이며 지적질하고 싶을 땐 그 집단이 사회적 약자인가 따져봐야 한다. 그것도 아닌데 혐오표현이라 사용을 막는 건 권위의식에 지나지 않는다.

청소년 인권감수성 함양을 위한 도서는 많다.
이 책에 아까운 시간을 투자할 필요는 없다.

왜 그랬느냐고? 장애인 입장에서 장애우라는 표현을 들으차별받는 느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야. 장애인은 장애를가진 사람이란 뜻의 중립적 표현이기는 하지만, 장애우는 비장애인의 입장에서 장애인을 다른 집단으로 보고 만든 비중립적 표현이거든. 더구나 이 말은 장애인 본인이 1인칭으로 사용하기 어려워. "저는 장애우입니다."라고 말할 경우, 자기 자신이 친구(友)라는 의미가 되잖아. 관점 자체가 장애인을 ‘대상‘으로 보고 있지. "장애를 극복했습니다. 처럼 장애를 인간이 이겨 내거나 재활이 필요한 대상처럼 표현하는 경우도 장애를 비하하는 표현일 수 있어. - P75

칭찬을 담은 표현이지만 중요한 건 발화자, 즉 이 말을 한여러분의 의도가 아니라 청자, 즉 듣는 흑인의 감정이야. 게다.
가 흑인이라고 누구나 운동을 잘하는 것도 아니고, 음악적 감수성이 풍부한 것도 아니거든, 결국 흑형, 흑누나란 표현 안에는 흑인에 대한 철저한 대상화, 타자화 시선이 전제돼 있지. - P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