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의 여행자들 오늘의 젊은 작가 3
윤고은 지음 / 민음사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이 만든 재난에 몰입하던 중에 자연의 재난에 깜짝 놀라는 반전.
‘윤리적 관광’이라는 문제도 한번 상기시킨 소설.
너무 신박한 참신함이 놀랍다.

그는 유능한 상사였다. 정확히 말하면 유능한 상사가 아니라 유능한 부하였고, 덕분에 유능한 상사 역할도 유지할 수 있었다. - P19

이곳에서의 휴식은 쉼표가 아니라 마침표처럼 통했다. 자신이 고갈되었다고 생각하면, 그때 사람들은 우회적인 방법으로 휴직계를 던졌고, 영영 돌아오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 P31

"하긴, 먼 데서 재난을 찾을 것도 없네요. 우리나라도 이제쓰나미 안전지대가 아니라니까요."
"남해안 일대가 초토화됐더라고요."
"그런데 왜 우리는 여기까지 왔을까요?"
어느새 돌아온 교사가 그렇게 물었다.
"너무 가까운 건 무섭거든요. 내가 매일 덮는 이불이나 매일 쓰는 그릇과는 어느 정도 거리가 있어야 더 객관적으로 보이지 않나요?" - P55

재난 여행을 떠남으로써 사람들이 느끼는 반응은 크게 ‘충격 → 동정과 연민 혹은 불편함 → 내 삶에 대한 감사 → 책임감과 교훈 혹은 이 상황에서도 나는 살아남았다는 우월감’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어느 단계까지 마음이 움직이느냐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결국 이 모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재난에 대한 두려움과 동시에 나는 지금 살아 있다는 확신이었다. 그러니까 재난 가까이 갔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안전했다는 이기적인 위안 말이다. - P61

조르주 바타이유는 여기서 전도된 에로티시즘을 발견했다. 그가 말하는 에로티시즘은 고통이 주는 강한 삶의 열망이라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사람들은 타인의고통 속에서 살아갈 힘, 에로스를 얻는다. 고통은 망막에 새겨졌을 때 강력한 이미지로 인식된다. 지독한 고통에 시달리는 이웃을 이미지로 확인할 때, 사람들은 값싼 우월감을 구매한다. 어마어마한 재난 지역을 뉴스로 보며 사람들은 감히체험키 어려운 숭고를 접한다. 직접적 체험으로서의 재난이위대한 자연의 숭고를 깨우쳐 준다면 렌즈를 거친 재난은 흥미로운 스펙터클과 다를 바 없다. - P240

윤고은이 『밤의 여행자들에서 보여 주는 회사라는 세계는 감수성이 사라진 현실이다. 감성(sensitivity)이 정보를 처리하는 인간의 감각 능력이라면 감수성(sensibility)은 맥락을 이해하고 관계를 공감하는 능력이다. 그런 점에서, ‘정글은 감성만 있고 감수성이 부재하는 공간이다. 비단 정글만이 아니다.
정글은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실, 감수성 없이 감성의 인식만으로 세상을 버텨 나가는 여기, 이곳의 반영에 가깝다. 정글이 곧 현실이라는 상상력은 윤고은이 우리가 처한 삶을 이윤 창출의 회사와 다를 바 없다고 판단했음을 보여 준다. - P2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