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뉴딜 시대의 스마트관광도시
정남호 외 지음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로 인한 관광산업의 변화는 디지털 시대의 스마트관광도시라는 새로운 산업을 불러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동네 한의사 - 마음까지 살펴드립니다
권해진 지음 / 보리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구 한의대를 졸업하고 현재 파주라는 도시에서

십 년 넘게 같은 자리에서 한의원을 운영 중이다.

권해진 원장은 동네 주민들과 한의원에서 소통한다.

진료대기실이 만화책을 보는 공간이기도 하고, 

소통의 장이기도 하다.

그렇게 만화를 보던 아이가 대학 입시 스트레스로 인해

다시금 한의원을 찾아오기도 하고, 

멀리서 소문을 듣고 찾아오기도 한다.

이 책은 한의사인 저자가 동네에서 만난 환자들을 치료하면서,

치료가 전부가 아닌 소통과 교류를 통하여 환자들을 치료하고

동시에 환자들에게서 자신이 몰랐던 삶의 지혜를 배우기도 한다.

이 책은 4년여 동안 동네 신문에 연재한 글을 책으로 엮은 것이다.

글이 따뜻하다. 한의사의 본분이 치료이지만 

이 책의 저자는 치료와 더불어 마음을 나눈다.

동네 주님들과 소통하고, 환자들과 소통한다.

그래서 그곳은 어찌 보면 동네의 사랑방 같기도 하고,

모여서 소소한 얘기를 나누는 만남의 공간 같기도 하다.

저자는 동네 주민이자, 동네 주치의를 자처한다.

일상에서 만나는 환자들을 대하는 저자의 소통은 남다르다.



 




그렇다고 의학적 지식이나, 

정보가 전혀 쓰여 있지 않은 글이 아니라,

일반인들도 쉽게 알 수 있도록 혈자리, 경락, 지압 등을 활용하여

아픈 부위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한의원에 가는 것이 여의치 않을 때 많은 도움이 된다.

각 장마다 내과적 질환, 외과적 질환, 몸을 돌보기

위해서는 마음을 돌봐야 한다는 등의 한방적으로 효과가 있는

내용을 제공하면서 우리가 잘 몰랐고

또 긍금했던 이야기들을 배치해두는 센스와 배려가 돋보인다.

저자는 의술도 물론 뛰어나지만, 

인술이 더 뛰어난다는 생각이 들었다.

잘 고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일단 마음의 통증을 읽을 줄 아는 것이 의사가 아닐까?

라는 생각에 저자가 환자를 대하는 모습에서 많은 감동이 되었다.

우리 동네에도 이런 한의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팍팍한 세상 가운데 이런 분들이 많아지면 

세상 살맛 나지 않을까......

일상적인 이야기를 통해 한토막 한토막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

그리고 실제적인 한의학 정보, 많은 도움을 받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동네 한의사 - 마음까지 살펴드립니다
권해진 지음 / 보리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따뜻하다. 누구나 한번쯤 가보고 싶은 곳이다. 한의학도 잘 설명해 준다. 유익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구독경제 101 - 고객만족·미래예측·현금흐름 왜 기업은 구독 모델에 열광하는가
심두보 지음 / 회사밖 / 202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구독 경제는 신문과 우유처럼 정기적으로 배달해서 읽고, 마시던 현상처럼,

유튜브나 넷플릭스 같은 플랫폼 경제를 구독하는 것을 말한다.

구독 경제는 새로운 형태의 경제다.

다시 말하면 구독하고 싶으면 구독하다가 필요 없어지면

바로 구독을 취소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경제를 말한다.

처음 등장했을 때는 매우 낯설었다.

그러나 그 낯설었던 시간은 단기간에 극복이 되고 

이제는 삶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사람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경제 형태가 된 것이다.

 

이 책은 『구독 경제 101』은 6장으로 나누어 구독 경제의 다양한 형태를 설명한다.

그리고 독자들에게 구독 경제의 새로운 사실들을 제공하고 있다.

최초의 구독 경제는 우유와 신문이었지만,

보관의 한계와 날로 변화하는 시장의 플랫폼에 의해

두 제품은 설 자리를 잃게 된다.

매일 소비 되어야 할 제품이라면 편하게 마시고 읽고 싶다는

사람들의 욕구에 의해 구독 서비스가 바뀌게 된 것이다.

이런 구독 욕구는 빠르게 변화하면서 인터넷 기업을 중심으로 변화의 흐름이 넘어간 상태다.

그래서 거기에 맞게 일정의 구독자만 확보된다면 꾸준한 현금이 들어오게 되고,

이를 통해 투자확대와 데이터 활용의 극대화를 통해 고객을 만족시킴으로

더 많은 구독자를 확보하게 되는 선순환 구조를 갖추게 된다는 것이다.

 

 

저자가 리필, 큐레이션, 서비스, 콘텐츠, 사물 인터넷 등 6가지 분야로

구독 경제를 나누어 설명하는 것에 대해 놀라웠다.

또한, 이렇게 많은 구독 서비스가 현재 존재하고 있고,

더 놀라운 것은 이것이 끝이 아니라 진행형이라는 데 있다.

더 놀랐던 것은 처음 듣는 이름이 너무도 많아

세상이 정말 빠르게 변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면 지금 내가 구독하고 있는 서비스가 무엇이 있을까 생각해 보았다.

그리 많지 않았다. 데부분의 사람들이 하는 수준이다.

그런데 이런 수준을 넘어서 저자가 말하는 것처럼

구독 경제는 점점 더 다양해지고, 발전할 것은 명백하다는 것이다.

 

생활 가운데 사실 구독 경제는 이미 넘쳐난다.

인터넷 쇼핑몰의 정기배송 자체가 구독 경제가 아닐까?

저자는 꼼꼼하게 다양한 구독 서비스들이 어떻게 돈을 벌고

성장하는지를 쉽게 설명해 준다.

구독 경제에 관심이 많다면 강력하게 추천한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구독경제 101 - 고객만족·미래예측·현금흐름 왜 기업은 구독 모델에 열광하는가
심두보 지음 / 회사밖 / 202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구독 경제를 통해 변화하는 시장을 잘 알려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