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권을 읽고 1000권의 효과를 얻는 책 읽기 기술
이정훈 지음 / 비엠케이(BMK)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적게 읽는 것을 저자는 소독이라고 한다. 소독하고 관찰하고 쓰면서 읽어야 한다고 한다. 심지어 저자는 한 달에 1~2권의 책을 읽는다고 했다. 한 권만 읽을 때도 있다고. 책을 읽는 내내, 나는 조금 다른 생각을 했다.

우선, 저자도 처음에는 다독 예찬론자였다. 나는 다독 예찬론자는 아니다. 책 읽는 것이 너무 좋아서 지금은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습관이 자리 잡혔다. 그리고 정독이 아주 훌륭한 독서법이라는 데에도 동의한다.

나도 지금은 다독을 하는 와중에도 2회독, 3회독을 하고 부분 필사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렇게 되기까지 다독은 필수다. 나는 감히 주장한다. 다독이 필수라고. 그렇게 많은 책을 읽다 보면 알게 된다.

이젠 속도를 늦추고 책을 씹어 먹으면서 체화시키고 적용을 해야겠구나 하고. 그래서 이 단계까지는 다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베스트셀러를 굳이 읽지 않는 것은 저자와 의견이 같다. 처음 책을 읽기 시작하는 분들에게는 베스트셀러가 대중적이기 때문에 권할 만하지만 어느 정도 책을 읽어 온 독자들이라면 굳이 베스트셀러를 욕심내서 읽지는 않을 것 같다.

오히려 스테디셀러를 찾아서 읽는 편이 나는 더 좋았다. 그리고 스테디셀러에는 내 기준으로 '고전'도 포함이 된다. 고전을 읽어서 하루아침에 성장한다든지, 성공한다든지, 부자가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저자의 생각처럼 인간의 본성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추천할 수 있다.
수천 년 전의 인간이나 현재의 인간이나 인간이 지닌 본성은 변함이 없다.

저자가 소독을 중요하게 여기는 큰 이유 중 하나는 저자의 어머니께서 책을 읽는 방법이다. 천수경을 만 번 정도 읽으셨고 지금도 읽고 계시다고 한다. 무려 40년 이상을 책 한 권만을 읽으시는 거다.


읽은 책을 왜 자꾸 읽으냐는 물음에 매번 새롭다는 대답을 하신다. 어려서부터 한 권의 책을 읽어오신 어머니를 보면서 자랐기에 이 또한 저자의 확고한 기준에 많은 영향을 끼친 듯하다. 산증인이지 않은가.​


책은 잘 살기 위해서가 아니라 다르게 살기 위해서 읽는 것이다. 경쟁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경쟁에서 자유롭기 위해서 읽는 것이다.
p.30

관찰하면서 책을 읽는 저자는 책 속에 나온 그 장소를 직접 방문해 보기도 한다. 진짜 몸으로 읽는 독서다. 익숙한 것들을 낯설게 보는 능력으로 세상을 바라본다. 박웅현 작가와 닮은 점이 많다. 같은 장면을 보고도 내가 보지 못하는 것을 그 사람은 볼 수 있다는 것이 정말 부럽기도 하고 샘이 나기도 한다. ​

1000권을 읽은 효과를 보기 위해서 저자가 사용하는 독서법은 우선은 소독이다. 반복해서 읽기가 기본이다. 최소 2번에서 3번은 읽는다. 그다음 독서 노트를 작성한다. 왼쪽에는 책 속의 내용을 베껴 적고 오른쪽에는 자신의 생각을 적기도 하고 인쇄해서 이미지를 붙여두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로 파일을 만든다. A4용지 2~3장으로 최종 요약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투명 파일에 끼워서 언제든지 읽어볼 수 있도록 마무리한다. 결국 대단한 방법이 아니다. 책 한 권을 체화시키는 것이다.



2~3번 반복해서 읽고, 독서노트로 정리하고 마지막으로 A4용지로 인쇄하는 것. 책을 읽는 내내 느낀 것은 저자가 소독에 대한 철학을 지니고 있고 다독을 권장하는 사회에서 불안을 느끼지 말라는 것이다. 책을 읽고 싶을 때 읽는 것이다.

[읽는 인간은 반드시 행복해야 한다.]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솔직하게 쓴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