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릿 GRIT (골드 에디션) - IQ, 재능, 환경을 뛰어넘는 열정적 끈기의 힘
앤절라 더크워스 지음, 김미정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큰 업적을 달성한 사람들은 끈기가 남달랐다. 재능도 중요하지만 그 재능을 발휘하기까지 끈기가 없다면 결국은 평범한 삶을 살게 된다. 재능이 부족하더라도 끈기를 갖고 자신의 잠재력을 끄집어낼 수 있다면 그게 곧 재능이 될 수도 있다.

성공한 사람들이 가진 특별한 점은 열정과 결합된 끈기였다. 한마디로 그들에게는 그릿이 있었다. 우리는 성공한 사람들의 결과물만 볼 수 있다. 그래서 그들은 우리와 남다른 재능을 갖고 있다고 결론짓는다. 즉, 그들은 우리와 남다른 두뇌를 갖고 있는 천재라서 성공을 한 것으로 판단한다.
물론, 그들이 우리와 다른 재능을 타고났을 수도 있다. 그러나 재능만을 믿고 끈기가 없었다면 과연 그들이 성공의 자리를 차지할 수 있었을까? 이 책의 저자만 해도 <그릿>이라는 연구를 10년 이상해온 결과물이 바로 이 책이다.

어떤 일을 숙달해서 최고의 경지에 오르기 위해서는 1만 시간의 법칙을 투자해야 한다든지, 10년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말이 있다. <1만 시간의 법칙 >, <10년의 법칙>, <탤런트 코드> 등. 이 모든 것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 것이 그릿과 일맥상통한 의미가 될 것이다.

나도 학원에서 아이들을 가르친 지 10년이 훌쩍 넘었다. 그렇다 보니 이제는 하루 이틀만 가르쳐도 이 학생이 잘하겠다, 못하겠다는 추측이 거의 들어맞다. 유독 머리가 좋은 학생이 있다. 이해력도 빠르고 단기간에 성적이 올라간다. 그런데 그런 학생일수록 끈기가 없다. 잠시 공부해도 성적이 나오니 꾸준히 공부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끈기는 찾아보기 힘들다.
반면, 내가 봐도 머리가 좋지 않은 학생들이 있다. 그 친구들은 유독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공부한다. 외우고 또 외운다. 만족할 만한 성적이 나오지 않더라도 고3 끝까지 붙들고 있다. 이런 학생들이 쉽게 공부를 놓지 않고 끈기를 갖고 하는 경우가 더 많다.
그렇다 보니 제일 안타까운 경우는 머리가 비상한데도 불구하고 더 이상의 시간과 노력을 쏟아붓지 않는 경우다. 끈기를 갖고 하면 자신의 재능을 백분 발휘할 수 있을 텐데 타고난 지능이 아깝다. 그럴 경우 그 지능이 오히려 그 학생에게는 해가 될 뿐이다. 노력이 없기 때문이다.

니체가 생각하는 '재능'이란?
p.67

"모든 완전한 것에 대해 우리는 그것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묻지 않는다."
"우리는 마치 그것이 마법에 의해 땅에서 솟아난 것처럼 현재의 사실만을 즐긴다."
"아무도 예술가의 작품 속에서 그것이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을 보지 못한다."
"우리의 허영심과 자기애가 천재 숭배를 조장한다."
"왜냐하면 천재를 마법적인 존재로 생각한다면 우리 자신과 비교하고 우리의 부족함을 느끼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누군가를 신적인 존재로 부르면 우리는 그와 경쟁할 필요가 없어진다."

<내 안에서 그릿을 기르는 법>
우선 관심사를 분명히 한다. 내가 흥미가 없는 일에 열정과 끈기를 불어넣는다는 것은 힘들다. 그리고 의식적인 연습을 해야 한다.

연재만화 <피너츠>를 1만 8000편 가까이 그렸던 만화가 찰스 슐츠는 매일 새벽에 일어나 샤워와 면도를 하고 자녀들과 아침식사를 했다. 그런 다음 학교에 데려다주고는 작업실로 가서 아이들이 하교할 때까지 햄 샌드위치와 우유로 점심을 때우며 일했다.
p.191

힘들어도 넘어져도 다시 일어나는 자세가 중요하다. 실패하더라도 거기서 멈추지 말고 다시 끈기 있게 도전해야 한다. 그릿이 높은 사람일수록 건강한 정서적 삶을 즐길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행복감을 어떤 식으로 측정하든 그릿 점수가 최고점일 때까지도 그릿과 행복감 간에는 비례 관계가 성립했다.
우리뿐만 아니라 아이들에게도 그릿을 키워줄 수 있을 것이다. 어른이 될수록 그릿이 커진다고 한다. 어릴 때 훈련된 그릿은 성인이 될수록 자신을 성장시켜줄 것이다. 그 과정에서 성공에 가까워질 수도 있고 그릿이 커갈수록 행복감도 커진다.

끈기가 부족해서 걱정인 사람들이나 쉽게 포기하는 아이 때문에 고민이 있다면 <그릿>을 추천드린다. 의식적인 연습과 노력으로 그릿을 키울 수 있다. 그릿이 커갈수록 우리는 타고나지 못한 재능을 이기게 된다. 그와 더불어 행복은 보너스다.

*비즈니스북스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