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리고 기다리던 나의 롤 모델 박웅현 작가님의 책이 출판되었다. 바로 구매했다. <책은 도끼다>를 읽고 손끝이 떨리고 가슴이 두근거려 살포시 책을 덮고 가슴을 쓸어내렸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박웅현 작가와 같이 삶을 아름답고 고귀하게 바라보는 그 통찰력이 부러웠고 어린아이와 같은 그 시선이 질투가 났다. 알았으면 행해야 한다. 내가 깨달은 바를 삶 속에서 살아낼 때 내가 새긴 그 문장을 비로소 안다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p.8이 흔적을 엮어서 내는 것은 책 속 한 문장이, 한 편의 시가 세상과 사람을 바라보는 시선을 바꿔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넘어졌다가도 일어나 다시 앞으로 나아가게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바람 때문이다. 오늘을 견디고 버틸 힘이 되어 줄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다.p.9<문장과 순간>이라는 책 제목 그대로 작가가 책 속에서 발견한 문장으로 혹은 삶의 한순간에 느낀 감정으로 여백이 느슨하게 채워져 있다.산문으로 된 책이기는 하지만 획기적인 형태의 새로운 자율시와 같은 느낌이 강하다. 고정된 틀이 없는 산문 더하기 시.<책은 도끼다>에서는 인문 강독회의 느낌을 그대로 살려서 청중에게 전달하듯이, 독자에게 꼭꼭 씹어서 소화까지 시켜주었다면 <문장과 순간>은 작가 자신의 감정과 통찰을 고스란히 전달하고 있다. 그동안 독자들이 관찰과 통찰을 연습해서 성숙해져 있다는 전제하에서 글을 쓴 것 같다. '내가 책 속의 문장에서 이렇게 느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도 이렇게 바라볼 수 있겠습니까? 이렇게 한 번 바라보는 건 어떻습니까? ' 하고 권유하는 느낌이 든다. 그러나 조금만 더 생각해 보면 명백한 사실이 한 가지 있다. 부조리 없는 인생은 없다는 것. 인간은 그저 각자의 자리에서 각자의 부조리를 견딜 뿐이다.한탄하지 말고 부러워하지 말고, 그저 내가 해야 할 일상의 작은 의무들을 수행하는 것, 그것이 부조리하고 불합리한 인생을 잘 살아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내 조건과 남의 조건을 비교하며 이러쿵저러쿵 따지지 말고 내 할 일을 묵묵히 수행하는 삶의 자세.p. 49,51책을 읽다 보면 나의 생각과 딱 들어맞는 글을 볼 때가 있다. 반갑다. 나는 <월든>을 읽으면서 '누구나 새벽을 맞이할 수 있는 건 아니다'라는 한 구절에 얼어붙었다. 역시 책은 도끼다. <월든>을 읽기 전, 나에게 새벽이란 단어는 없었다. 아침이 하루의 시작이었다. 나도 새벽을 맞이하고 싶었다. 아침이 내 허락도 없이 오는 것이 아니라 내가 새벽에게 아침을 안내하도록 하고 싶었다.어스름한 새벽을 보고 차가운 새벽 공기를 느끼고 숨을 들이쉰다. 느끼는 것과 체험하는 게 같다. 들이쉰 공기는 차갑다. 책상에 앉아 커피를 한잔하노라면 어두운 하늘에서 빛이 비집고 나온다. 비집어 뒤틀고 나온다. 어느 순간 그 빛은 급속히 사방으로 번져나가 새벽 공기를 소멸시키고 만다. 소멸과 동시에 탁하던 나뭇잎의 초록색은 윤기를 발하기 시작한다.가을이 무르익어 가고 있다. 계절에 딱 맞는 책 한 권 <문장과 순간> 으로 각자의 문장을 찾아 그 순간을 즐겨보시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