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운 여름저녁이면 수박향이 그리워진다.

약간은 비릿하면서도 달콤한 수박은 입속의 행복이다. 빈부의 격차 없는 포만감.

 

수분과 당분이 많이 포함된 붉은 과육은 풍요의 상징이다. 그 어떤 과일도 갖지 못한 볼륨감은 덤이다.

 

간혹 씨가 많이 박혀있는 수박은 씨를 채굴하는 과정이 수고롭긴 하지만 씨를 뱉어내는 즐거움도 있다. 요즘은 함부로 말하면 무안해지는 씨 없는 수박도 있다.

 

수박은 먹기 좋게 잘랐을 때 꼭지 부분이 가장 달다. 전체로 보면 중간이다. 두꺼운 껍질 부분으로 갈수록 당도는 떨어진다. 때론 무맛이 나기도 한다.

 

어릴 적 일찍 철이 든 남자 아이는 부모님과 누이들에게 수박 가운데 토막을 양보하곤 했다. 부모님은 맛있는 부분을 먹기 편하고 드시라고, 어린 누이들은 나중에 시집가서 엄마가 되면 맛있는 부분을 먹을 수 없기 때문에.

 

그 아이가 자라서 어른이 되고, 결혼을 하고 아빠가 되어 애를 네 명이나 낳았다. 이제는 수박 가운데 토막을 먹을 수 있을까 했지만, 초롱초롱한 눈망울 여덟 개를 보고 있노라면 여전히 가운데 토막을 들지 못한다. 하여 먹기 힘들고 당분이 적은 바깥 토막을 집어들 수밖에 없다. 아내는 있지도 않은 당뇨병에 도움이 될 거라면서 위로를 전한다. 언제쯤이면 수박 가운데 부분을 먹을 수 있을까? 할아버지가 돼서나...

 

수박은 둥글게 모여앉아 웃으며 먹는 것이 가장 맛있다. 가끔 웃다가 수박 폭탄을 앞사람에게 터트리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다시 웃는 사람들이 가족이다. 냉장고가 귀하던 시절 우물 속에서 수박을 꺼내다가 빠트려 우물 속으로 들어가 수박을 들고 나온 적도 있다. 지금은 전화 한통화로 수박을 배달받고 800리터짜리 냉장고 덕분에 여름이면 매일 밤 수박잔치다.

 

검게 그을린 얼굴에 구멍 난 하얀 메리야스를 입은 아버지와 모깃불 속에서 깔깔거리며 수박을 먹던 그 여름밤은 어디로 갔을까? 수박씨를 뱉어내듯 툭툭 던져버린 시간 속으로 사라져버린 것일까?

 

굳이 수박 가운데를 차지하고 베어 먹지 않더라도, 우리 가족의 삶은 언제 가장 달콤할까? 내 삶은 언제 가장 달콤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