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아, 서른에는 노자를 만나라 - 시인 장석주가 전하는 1만 년을 써도 좋은 지혜
장석주 지음 / 예담 / 2013년 9월
평점 :
품절


 

이웃님 블로그 기웃거리다 바로 입수해두었던 책, 저자 '장석주'는 시인이라 한다. 그가 외국 생활을 하는 서른 즈음의 아들에게 편지로 쓴 글이다.

- 네게 잔소리하기 위함은 아니다. 그저 나날의 일들과 감회, 먹고사는 일의 고단함과 보람, 자연의 변화, 생겼다가 사라지는 마음의 무늬 그리고 사람 사는 도리에 대해 속내 드러낸 얘기를 나누고 싶구나. 애비는 그 방편으로 오래 곁에 두고 읽은 [노자]를 꺼내 들었다. 12

사십 대 중반부터 안성에 있는 금광호수 주변에 전원주택을 짓고 기거한다는 그는, 삶의 위기가 왔을 때 그곳을 선택했고, 많은 책들을 읽고 사유하고 글을 쓰는데, 특히나 동양의 고전들 중 [노자]와 [장자]를, 읽고 또 읽으며 지낸다 한다.

날마다 책을 읽는다는 그는 책을 읽지 않을 때의 정신적 허기에 허둥거림을 토로한다. 책 읽기의 최종 목적은 자식의 습득이 아니라, 사유하는 것이라고..

서점은 인생의 항해에서 등대같이 지침을 주는 책들로 가득하고, 깃발에 찢겨 귀환했을 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항구 같은 곳이라고 덧붙이며

자식에게 전하는 이 친근한 편지글에는 교훈적인 면도 있지만 에세이 같기도 한, 일상들을 술회하고 있다. 부모 세대의 연륜과 경륜만큼의 지혜를 구할 수 있고,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어 자꾸만 현재의 나를 돌아보게 하고, 미래의 내 생활을 그려보게 한다.

부모가 얘기하면 잔소리요, 그야말로 앉혀놓고 대화로 하자 차면 설교요~ 한 것들을, 이렇게 편지라는 형식을 빌려 썼다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인 듯..

그래서 그 자녀가 아닌 우리들에게까지 나눠주는 유익한 이야기가 될 수 있는 것.

- 아무것도 없는 빈방에서 가부좌를 틀고 앉아 두 시간쯤 눈을 감고 있는다. 그때 머릿속으로 스쳐가는 잡념들이 무엇인지 본다. 그 잡념들은 '나'의 실체가 아니라 헛것이요, 먼지와 같이 떠도는 관념이다. 우리는 얼마나 우리 존재를 붙들고 있는 그 유령들에 휘둘리며 사는가. 그 잡념들만 떨쳐내도 인생은 한결 가벼워질 것이다. 18

- 오늘 죽을 것만큼 힘들어도 내일은 내일의 해가 뜨겠지. 그러니 오늘의 역경에 겁먹지 마라, 움츠리지 마라. 가슴을 활짝 펴고 새날을 맞아라. 쇠붙이가 불에 달궈지며 연마되듯 사람도 역경에 단련되는 것이다. 역경을 견딘 자는 내면이 꿋꿋하고, 자태는 침착하고 늠름하다. 25

서른에서 한참 지난 나이에 이 글을 읽으면서 그의 화두들이 서른에 받아들이기엔 아직 이를 텐데 하면서, 한편으론 지루하고 딱딱하기만 할 것 같은 [노자]를 현재의 삶, 현실의 삶의 한 현상들을 제시하면서 [노자]의 가르침을 하나씩 풀어주는 편지글, 그런 편지를 받는 그 자제분이 부럽기까지 하더라는..

- 새해 들어 이 애비의 첫 결심은 '이름 없는 소박함'을 구하며 사는 것이다. 이름이란 고작해야 분별의 필요로 지어진 것이다. 가볍기로 치자면 깃털같이 가벼운 것이 이름이다. 그러나 한번 이름으로 세워진 것은 쉬이 지워지지 않는 법이다. 그 '이름'으로 불림으로써 본디 이름이 없었고 모호함 속에 있던 '나'라는 존재자의 실체가 드러난다. 그 이름으로 호명되는 자는 어둠 속에서 홀연히 밝음으로 나서는 것과 같다. 한편으로 이름은 속박이기도 하다. 네 이름은 평생 따라다닐 네 얼굴이요, 인격의 기호가 될 것이다. 따라서 이름 없음에 처하는 것은 이름이 짓는 속박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노니는 것이겠지. 26

내가 미침 이 문장을 읽을 때가 경주에서 아침밥을 기다리는 시간이었다. 경상도 여행에서 먹거리는 대개 만족스럽지 못한데, 불만 없이, 적게, 소박하게 먹는 걸로~~그렇게 사는 걸로~

편리하다는 핑계로 지향하는 것들이, 어느덧 넘쳐나있더라, 착한 소비에 대한 생각에까지 이르고, 이름 지어진, 존재들의 속박과 부대낌이 짠해지기도 했다.

- 직선이 인위라면, 곡선은 무위 자연이다.

애비가 노자를 마음공부의 근간으로 삼을 무렵 "크게 곧은 것은 구부러진 것 같다"라는 구절을 처음 접하고 크게 놀랐단다. 마치 뒤통수를 망치로 얻어맞은 듯 멍했지. 진짜 곧은 것은 그 곧음을 뽐내지 않는다. 오히려 구부러진 듯 처세를 하지. 진짜로 강한 힘을 가진 사람은 그 힘을 드러내 자랑하지 않는다. 진짜 싸움을 잘하는 사람은 굳이 맞서 싸우려 들지 않는다. 진짜 아는 사람은 그 앎을 내세우지 않는다. 42

- 노자는 구부러진 것을 향한 예찬을 그치지 않는데, 그의 생각에는 구부러진 것이야말로 곧고, 완전한 것이다. 구부러진 것은 지극한 부드러움으로 이미 제 안에 곧음을 품는다. 도는 직선이 아니라 곡선의 작용이다. 직선의 일은 억지로 함이고, 곡선의 일은 스스로 그렇게 하도록 놓아두는 것이다. 43

-그리하여 크게 밝으면 어두운 듯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것은 뒤로 물러서는 듯하고, 크게 높은 것은 내려앉은 골짜기 같고, 온통 흰 것은 때를 탄 것 같고, 넓은 것은 좁은 듯하고, 큰 소리는 정작 귀에 들리지 않는다. 그게 바로 조화란다. 도와 덕의 근본 작용은 조화에 이르는 것이다. 43-44

[이하생략]

 

유한한 생명을 가진 사람은 영원을 겪어낼 수 없으며 그것을 객관적으로 실감할 수도 없지. 우주의 한 작은 존재로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영원에 대해 관조하는 것뿐. 57



- 아들아, 진짜 강함은 약함과 부드러움을 지킬 줄 아는 것이란다. 그러니 억지로 강건해지려고 하지 마라. 애써 이기려고 들지도 마라. 강건한 것은 꺾이고, 이기려 드는 자는 지는 법이다. 재화를 움켜쥐려 들면 흩어지고, 쇠를 두드려 날카롭게 하면 오래 보존할 수 없는 법이다. 그러므로 약함과 부드러움에 처하는 물과 같이 살아라. 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