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나라, 당찬 외교
안문석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인류 역사를 보더라도 전쟁은 약소국과 강대국의 전쟁인 경우가 많다. 내부적인 요인이든 외세의 방해나 침략 때문이든 경제를 발전시키고 첨단 무기를 가지려고 한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을 보더라도 강대국이 주변의 만만한 나라를 쉽게 본 경우이기도 하다. 좀 작더라도 경제력과 군사력이 강하고 문화적인 깊이가 있는 나라들은 그렇게 휘둘리지 않는다. 약소국은 국을 확보하기보다 생존을 위해 애쓰는 나라가 많다. 생존과 번영을 확보한 나라라면 작지만 강한 강소국이라고 할 만하다. 작은 나라들은 이 최강소국이 되기를 소망한다. 자존심과 자존감을 지키면서 강대국에 휘둘리지 않고 주장 있는 외교를 하는 것이다. 외교는 나라와 나라 사이의 협상, 협력 등을 통해 서로 자신의 국가 이익을 실현해 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정부와 정부 사이의 관계가 전통적으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공공기관이나 기업, 민간단체 등과의 관계도 외교의 주요 영역에 들어와 있다. 약소국은 물리적 힘이 약한 나라를 말한다. 대외적 행위 양식에서 약소국은 세계 문제에 되도록 참여하지 않으면서 국제법에 호소하려는 경향이 있다. 약소국은 국제체제에 대한 영향력이 적은 나라다. 또 약소국은 스스로 안보에 책임을 지지 못하는 나라들이다.

외교는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때 상대국과 대화, 협상을 통해 문제를 풀어가는 것이다. 외교를 펼치고 공작을 했는데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전쟁으로 갈 수 있다. 싱가포르는 서울 크기보다 조금 더 크다. 미니국가인 싱가포르는 영국으로부터 독립해 1959년 국회를 구성하고 자치정부를 설립했다. 지금까지 65년 역사에 총리는 네 명뿐이었다. 싱가포르는 안보 우려로 미국과 친하게 지낸다. 싱가포르는 작지만 잘살고 이웃 국가들과는 좋은 사이는 아니다. 미국과의 동맹은 중국이 남중국해 전략을 추진할 때도 더 강화되었다. 싱가포르는 중국과도 상품 교역뿐만 아니라 중국내 기업에 많은 자본을 투자했다. 싱가포르는 미국중국과 안보경제협력을 역동적으로 해오면서 동시에 미국중국 가운데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균형 외교를 펼치고 있다. 작은 나라 싱가포르의 이러한 큰 외교는 어떤 기반과 바탕 속에서 나오는 것일까? 국가 지도자의 분명한 외교 의식과 내정 절대 불간섭이 외교의 근저에 깔려 있다. 싱가포르는 외교에 있어 원칙과 규범을 중시하고 국익 중심의 독자적 판단을 하고 자신들의 전략적 자산에 대한 엄밀한 평가와 이것의 적극 활용이다. 그렇다보니 중국과 가까우면서도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협력 기구인 아세안과 중국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해온 싱가포르는 미국에도 중요한 자산이 아닐 수 없다. <작은 나라, 당찬 외교>에서는 싱가포르의 외교뿐만 아니라 코스타리카, 쿠바, 베트남, 리투아니아, 네덜란드, 아이슬란드, 북한, 튀르키예, 지부티, 스위스, 스웨덴, 오스트리아 등 각 국가에서 가진 외교의 특징들을 알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