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매일 나에게 다정한 글을 써주기로 했다 - 자기 긍정과 마음 치유를 위한 글쓰기 필사 노트
김애리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자기 자신에게 엄격한 사람이 있고, 자기 자신에게 관대한 사람이 있다. 너무 자신에게 엄격할 필요도, 너무 관대한 필요도 없다고 본다. 하지만 그 중간이라는 것이 참 어렵다. 위로가 필요할 때가 있는데 엄격하기도 하고, 너무 나태해진 것 같아 엄격할 필요가 있을 때 관대해지는 등 그 중간이라는 것이 힘들다. 그럼에도 <나는 매일 나에게 다정한 글을 써주기로 했다>를 읽으면서 조금은 자신에게 힘이 되고 자신감을 줄 수 있는 글들을 읽을 수 있다. 필사를 몇 번 해 본 적이 있는데 필사를 하면서 문장을 천천히 읽고 글자로 다 쓰기까지 그 글자를 음미하며 쓴다는 것이다. 글자 하나에 정성이 깃들고 단어 하나에도 여러 번 생각하게 한다. 하나의 문장이 되었을 때도 여러 번 읽고 다음 문장으로 넘어가면서 짧은 한 개의 문장이라도 필사한 문장을 읽고 또 읽으면서 오직 문장에 집중하게 된다.

<나는 매일 나에게 다정한 글을 써주기로 했다>는 유명한 책들의 한 구절을 필사할 수 있다. 싯다르타, 세상을 보는 지혜, 도덕경, 빨강 머리 앤, 호밀밭의 파수꾼, 노인과 바다, 독일인의 사랑, 비밀의 화원, 자기만의 방, 순자, 로빈슨 크루소, 갈매기이 꿈, 그리스인 조르바 등 고전들의 문장을 필사한다. 디팩 초프라의 '마음챙김의 순간'이라는 책에서 '모든 씨앗에는 수천 그루의 나무가 싹을 틔우리라는 희망이 담겨 있다'는 문장이 있다. 이 말은 우리 모두는 자신 안에 자신이 틔울 수 있는 수많은 가능성의 씨앗을 가지고 있다. 하나의 씨앗만 틔울 것인지 여러 개의 씨앗을 틔울 것인지는 우리에게 달려 있다. 자신 안에 세계가 있고 우주가 있고 모든 가능성이 있고 새로운 생명까지 품을 수 있는 넉넉함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