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 아리랑 - 북녘에서 맛보는 우리 음식 이야기
김정숙 지음, 차은정 옮김 / 빨간소금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북한과 같은 한반도에 살며 같은 언어를 사용하지만 오랜 분단의 현실 때문에 점점 여러 가지가 다른 문화를 가지게 되었다. <밥상 아리랑>은 북한의 음식과 사람에 관한 이야기들을 읽을 수 있다. 남한은 오래전부터 서양의 문화가 들어와 식생활에서도 서구화되어 있고 사람들의 입맛 역시 서구적이 되어가고 있다. 그에 비해 북한은 아직까지 전통적인 조리방식이나 조리법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저자는 2008년부터 2년에 한 번씩 도쿄의 조선대학교 생활 과학과 학생들을 데리고 북조선을 방문한다고 한다. 그렇게 북한의 식문화와 북한 주민들의 생활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었던 것이다.

 

북한에서는 옥수수를 이용한 음식이 맛있는데 학생들은 북한에 가기전부터 꼭 먹어봐야 하는 음식 리스트를 가지고 있었다. 그 중에 지역산 감자를 주재료로 한 농마국수가 질겨 실망을 했다. 그 다음에 맛본 것이 옥수수 막걸리인데 쌀 막걸리보다 단연 좋았다. 그 뒤로 옥수수가 들어간 온면을 먹게 되는데 냉면이라고 하면 차가운 여름 음식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북한에서는 옥수수 온면으로 즐기기도 한다. 옥숙수의 단맛 때문에 먹는다고 하는데 면은 도톰하고 평평해서 국물과 함께 후루룩 먹기에 좋았다고 한다.  


 




 

저자와 학생들은 북한을 여행할 때 모든 북한 여행자들이 그렇듯 가이드의 지시에 따라 여행을 한다. 그러나 저자와 학생들은 오래전부터 조선료리협회를 방문하고 요리 실습도 한다. 조선료리협회의 서재각 건물에서 모두 12가지의 요리를 실습했다. 평양에서 가장 유명한 식당의 요리사가 직접 실습 감독관이 된다. 학생들을 위해 천천히 말을 하지만 교포 3세대 아이들은 평양말을 완벽하게 알아듣지는 못한다. 이런 아이들은 점점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조선의 문화와 멀어지게 될 것이다. 일본내에서 조선학교는 수업료도 비싸고 취직도 어렵다. 게다가 일본 사회에는 아직도 조신인, 한국인에 대한 차별이 깊게 남아 있다. 이런 시대에 젊은이들은 국적을 포기하기도 하고 한국말을 버리기도 한다. 북한의 여행에서 가장 즐거운 일 중에 하나는 아무래도 그 지역 특산품을 맘껏 먹을 수 있다는 것이다. 북한에서 먹은 음식은 대부분 북한 현지에서 바로 수확해 요리해서 먹는 음식들로 맛있을 수 밖에 없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