긱 워커로 사는 법 - 원하는 만큼 일하고 꿈꾸는 대로 산다
토머스 오퐁 지음, 윤혜리 옮김 / 미래의창 / 2019년 5월
평점 :
품절


처음 '긱(gig) 경제'를 들었을 때 '결국엔 프리랜서, 계약직, 단기 알바가 아닌가?'하는 의문점이 들었다. '긱 경제'는 고용주가 필요에 따라 사람을 구해 단기 계약을 맺고 일을 맡기는 경제 방식이라고 한다. 어쩌면 앞서가도 너무 앞서가는 형태의 일자리인 것 같은데 우리나라 현실에서는 이런 형태의 일이 현실적이지 않은 것 같다. '긱 경제'라고는 하지만 고용당하는 근로자의 입장에서는 일시적인 수입과 일자리로 불안감을 조장한다. 하지만 시대는 변화하고 있고, 변화하는 노동 시장 트렌트와 계속되는 경기 불황 속에서 긱 경제는 성장했다고 한다. 인터넷이 발달하기 전이라면 이런 긱 경제는 발전할 수 없을 수도 있었다. 하지만 온라인이라는 거대한 시장을 무대로 독립형 근로자와 클라이언트는 이어질 수 있다. 독립형 근로자가 정규직이 받는 혜택을 받지는 못하지만 온라인 플랫폼이 확산되면서 독립형 일자리는 구하기 쉽다고 한다. 그러면 어떻게 하면 독립형 근로자로 성공할 수 있을까? 우선 자신의 과거 가장 뛰어난 업적을 모은 포트폴리오를 만든다. 포트폴리오는 클라이언트의 눈길을 끌어 고용으로 이어주는 중요한 도구이고 온라인으로 만들어 두면 도움이 된다. 자신이 속한 업계에서 독립형 근로자를 고용한 적이 있는 클라이언트를 찾는다. 무엇보다 먼저 독립형 근로자는 경력을 쌓고 클라이언트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을 잘 견디는 인내심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한다. 



만약 이런 과정들을 거쳐 독립형 근로자로 일을 하게 되었다면 담당한 프로젝트가 끝난 후 어떻게 해야 할까? <긱 워커로 사는 법>에서는 일감이 끊이지 않게 하는 방법도 알려준다. 독립형 근로자는 자신을 알리기 위한 영업을 해야 하는데 초보 긱 워커에게 영업이란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영업도 업무의 정식 일정처럼 생각해야 한다. 또는 일하고 싶은 사람을 찾아 그들에게 먼저 연락을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가장 쉬운 방법 중에 하나가 바로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사람을 통해 소개받는 것이다. 이미 많은 사람들은 구인구직 사이트에서 긱 워크를 구하고 있다. 구인구직 사이트에는 산업별로 수많은 일감이 계약직부터 장기 프로젝트까지 유형별로 다양하게 등록되어 있다고 한다. 앞으로 더 많은 긱 워커들이 생겨날 것이고 이제는 일이 중심이 되는 생활이 아닌, 인생을 즐길 수 있는 여유가 있는 근로자의 수가 더욱 늘어날 것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