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투자의 시대 - 수익률 1000% 시장에 도전하라
정민규 지음 / 라온북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문으로 닫혀 있는 곳이 바로 북한일 것이다. 사회주의 국가가 경제난을 극복하기 위해 외국자본을 받아들이거나 시장경제를 개방하기도 한다. 그런데 아직까지 북한은 그렇지 않고 폐쇄되어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고,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얼마전 오랫동안 북한에서 일을 했던 어느 외국인의 북한생활 책을 읽은 적이 있어 꼭 북한이 모든 외국자본을 철저하게 막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북한 투자의 시대>를 읽으며 북한에 대해 오해하고 있던 부분들을 알 수 있었는데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이나 베트남도 시장을 개방했듯이 북한도 시장을 개방하고 있다는 것이다. 외국에 대한 무역의존도가 50퍼센트가 넘는 개방경제이지 폐쇄경제가 절대 아니라는 것이다. 뉴스에서 보던 북한 주민들은 밀수활동이나 장마당에서 판매활동 등을 하며 시장경제 활동을 하는 광경을 본 적이 있다. 이런 것들이 모두 시장경제이고 개방경제이다. 게다가 북한에는 스타트업 창업자가 직접 기업을 설립하고 운영하는 신흥자본가들이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북한에 투자를 더 활성화할 수 있게 하려면 남북관계, 북미관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한다. 북한 최고층이 경제발전을 위한 개혁과 개방의 의지가 있는지, 변화를 수용할 의지가 있는지가 가장 중요한 문제일 것이다.




지난 2018년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될 때 남북경협이 주진되면 정부에서 최우선적으로 추친될 것이 철도나 도로, 항만, 정보통신시설, 상하수도 등의 개선작업이라고 예견한 사람들이 많았다고 한다. 그래서 투자를 한다면 이런 분야에 투자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남북간 철도, 도로 연결에만 관련된 많은 분야들의 수요도 급증하고 번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은 섬유나 식품, 건설자재 생산공장, 목재공업 등도 노려볼만 하다는 것이다. 이런 분야들은 한국에 비해 북한이 상대적으로 낙후된 분야이고 이는 그만큼 상대적으로 투자가 유망하다는 의미이다. 남북한이 점점 대화의 기회도 늘리려고 하고 미국과도 협상이 결렬되긴 했지만 협상을 시도하려는 것이 뭔가 변화를 시도하는 것 같아 앞으로의 남북한의 관계가 희망적으로 보이기도 한다. 만약이 아닌, 실제로 북한이 개방되길 바라며 <북한 투자의 시대>에서 바라는 투자 분야가 빛을 발하길 바란다. 그동안 북한은 개방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더 개발할 것도 많고 투자할 분야도 많아 큰 발전을 이룰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