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벨탑 공화국 - 욕망이 들끓는 한국 사회의 민낯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벨탑'은 성서에 등장하는 탑으로 인간의 욕망과 오만을 대신하는 단어이기도 하다. 구약성서의 창세기에 바벨탑에 관한 일화가 있다고 하는데 높고 거대한 탑을 쌓아 하늘에 닿으려고 했던 인간들이 있었다고 한다. 이런 인간들의 오만한 행동에 신은 분노하고 하나였던 언어를 여러개로 만드는 저주를 내린 것이다. 언어가 달라지자 인간들은 탑을 쌓는 과정에 혼란과 혼돈이 생기고 결국 탑은 완성되지 못했다고 한다. 이런 바벨탑에 관한 것은 중세시대 화가들의 그림을 통해 본 기억이 났다. <바벨탑 공화국>은 현대의 바벨탑을 쌓고 있는 대한민국인들을 향한 어쩌면 우려의 목소리일 수도 있다. 바벨탑이 단지 하늘 높이 솟아나는 건물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하늘을 향해 높아져만 가는 대한민국이 바벨탑은 사회적인 구조와 현실적인 문제에서 생겨난 것이라고만 치부하기엔 현대인들이 욕망이 더 크다고 본다.



대한민국은 현재 50층 이상 주거용 초고층 건물을 세계적으로 4번째로 많이 보유한 나라라고 한다. 주위에서도 50층 이상의 고층 아파트를 쉽게 볼 수 있다. 그만큼 고층에 대한 집착이 아닐까 싶은데 전쟁을 치른 한반도에서 자신의 집은 곧 정착이고 부의 상징이 되었다. 고층에 살수록 높은 지위와 상류층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우리나라는 서양의 '젠트리피케이션'이 변형된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젠트리피케이션은 고급 주택화라는 뜻으로 슬럼화한 주택가를 고급 주택화한다는 것이다. 지방정부나 기업이 특정 지역을 살리기 위해 재개발의 형식으로 주도하는 것인데 한국의 젠트리피케이션은 주민들의 생존권과 주거권을 침해하고 파괴하기도 한다. 아직 많이 발전되지 않은 곳이 사람들의 입소문이 나고 방송에 나오면서 '핫플레이스'가 되지만 곧 영세 세입자들이 쫓겨나야 할 정도로 집세가 오르게 되는 부작용이 생겨나고 있다. 이는 핫플레이스가 되면 건물주가 임대료를 올리기 때문인데 요즘은 조물주보다 높은 사람이 '건물주'라고 하는 말이 생겨날 정도이다. 한국에서 부동산의 소유는 불로소득으로 성공한 투자라고 할 수 있다. 부동산을 소유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재테크라고 한다. 부동산 투자는 점점 지방으로 확산되고 있고 제주도엔 외국인의 투자를 받기도 한다. 그리고 젊은이들은 지방을 떠나 도심으로 모여들고 있다. 이런 현상은 어쩌면 머지않아 지방을 소멸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지방간의 불균형과 지방분권은 점점 악화되고 지방이 지방을 죽일 수도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바벨탑 공화국>에서는 대한민국이 처한 사회와 국가적인 문제를 비판하기도 하고 문제의 심각성을 자각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