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는 돈관리다 - '구멍'은 막고,'돈맥'은 뚫는 알짜 장사회계
후루야 사토시 지음, 김소영 옮김, 다나카 야스히로 감수 / 쌤앤파커스 / 2019년 2월
평점 :
절판




​창업을 하거나 자신의 사업을 하다보면 가장 큰 문제가 '자금'인데 이 돈은 매출이 많이 늘었다고 해서 충분하다거나 부족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어떤 분야든 매출이 오르지만 돈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생긴다. <장사는 돈 관리다>의 저자는 꽃집을 경영해보며 이런 일들을 경험하게 된다. 매출은 늘었지만 도매상에 지불해야 하는 재료값 등을 지불하고 나니 적자가 되게 된다. 이렇게 수중에 현금은 부족해지고 거듭되는 적자를 막기 위해 은행에서 돈을 빌리게 된다. 이렇게 은행에서 대출금을 받아 급한대로 자금을 융통시키지만 장기간은 유지하기 힘들다. 이렇게 매출이 늘었는데도 자금이 부족한 것은 경영상에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돈이 돈을 번다'는 말이 있다. 이런 말은 돈을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돈을 더 잘 버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는 이런 사람들이 돈에 대해 잘 알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장사는 돈관리다>에서 저자는 자신이 하는 사업에서 이익을 더 많이 내기 위해서는 돈에 대해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돈을 공부하기 위한 회계를 공부하게 되는데 장사에는 매출이 중요하고 매출엔 고정적으로 드는 비용이 있다. 이 '고정비' 는 한계이익에서 빼면 영엽이익이 되는데 한계이익이 크면 클수록 회사의 '머니 파워'가 크다는 것이다. 규모가 작은 회사나 자영업은 한계이익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꽂가게라고 해서 동네의 작은 꽃가게를 금방 떠올리고 수입이 크지도 않을 것이고 회계라고 할 것도 없이 운영해도 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장사는 돈관리다>를 읽다보니 그 생각이 바뀌었다. 작든 크든 자신의 사업이고 수익을 내기 위해서서 확실하게 회계를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서 사업이 번창하기를 바란다는 것은 큰 욕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