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안아 줘도 될까? - 경계 존중 교육 그림책
제이닌 샌더스 지음, 세라 제닝스 그림, 김경연 옮김 / 풀빛 / 2019년 1월
평점 :
<내가 안아 줘도 될까?>는 아이들이 읽으면 좋은 교육적인 면을 많이 담고 있는 그림책이다. '경제 존중 교육 그림책'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내가 안아 줘도 될까?>는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나와 상대방에 대한 존중과 어린이들이 어른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도 알려준다. 가끔 아주 나쁜 어른들에 의해 아이들이 상처받고 범죄에 노출되는 것을 보면 마음이 아프고 안타까워 무조건 아이들에게 어른들을 경계하고 의심해야 한다는 말로 아이들을 보호하려고 하지만 그것만이 최선의 방법은 아니다. 아이들이 스스로 자기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힘을 생기게 하는 책이기도 한 것 같다.
<내가 안아 줘도 될까?>는 어떤 사람들이 할 수 있는 말일까? 어른이 아이에게만 할 수 있는 말은 아니다. 이 말은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의사를 정확하게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하는 말이기도 하다. <내가 안아 줘도 될까?>에서는 우리 몸은 모두 소중하다고 한다. 너와 똑같은 사람은 아무도 없기 때문에 아주 특별한 것이다라고 한다.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서 몸의 경제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 경계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리 몸을 감싸고 있다. 오빠가 여동생을 껴안고 싶을 때, 할머니가 아이에게, 누군가 뽀뽀를 하고 싶거나 안고 싶거나, 손을 잡고 싶을 때도 물어봐야 한다. 그리고 작은 아기를 안고 싶을 때고 물어봐야 한다. 그런데 이렇게 포옹하고 뽀뽀를 할 때 하고 싶을 수도 있지만 하고 싶지 않을 때도 있다. 그럴 때는 상대방에게 '아니요'라는 정확한 대답을 해야 한다. 상대방이 어른이고 나보다 나이가 많다고 해서 싫은데도 좋다고 허락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친구들끼리도 손을 잡고 싶을 때 먼저 물어보고 허락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포옹하기 싫다고 뽀뽀하기 싫다고 해도 상대방이 경계를 무시하는 경우도 있다. 그럴 때는 안전망에 있는 어른에게 말해야 한다. 절대 그런 행동이 고자질이라고 생각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이런 경계는 신체적인 접촉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친구와 놀이를 하면서도 친구의 물건을 만지거나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싶을 때 먼저 물어봐야 한다는 것이다. <내가 안아 줘도 될까?>와 같은 교육은 일상 생활에서 꼭 필요한 교육이고 이런 기초 교육이 더 건강하고 활기찬 어른으로 자랄 수 있게 할 것이다. 나의 몸의 경계만 생각하는 것이 아닌 나와 상대방의 경계까지도 생각하고 배려하고 존중해주는 마음이 저절로 생길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