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뚜기를 잡으러 아프리카로 - 젊은 괴짜 곤충학자의 유쾌한 자력갱생 인생 구출 대작전
마에노 울드 고타로 지음, 김소연 옮김 / 해나무 / 2018년 12월
평점 :
절판
<메뚜기를 잡으러 아프리카로>라는 제목의 책 표지를 보라. 어떻게 이 사람을 곤충학자로 볼 수 있을까? 그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이지만 생계는 전혀 고민하지 않는 괴짜로밖에 안보인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 절대로 그런 생각을 못할 것이다. 곤충학자 메뚜기박사는 자신이 좋아하는 일에 열정적이고 유쾌하고 재미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게 될 것이다. 지인 중에 누군가 메뚜기를 잡으러 ‘모리타니’라는 나라로 간다면 어떤 말을 해 줄 수 있을까? 모리타니 이슬람 공화국은 서아프리카에 있는 나라이다. 아프리카도 낯설고 모리타니도 낯선 나라다. 그런 모리타니로 메뚜기 연구를 하기 위해 떠난 곤충학자는 메뚜기가 사막에 서식하므로 야외 상태를 관찰하기 위해 사하라에 온 것이다. 주로 사막에서 야영을 하며 메뚜기 유충을 관찰하며 생활한다.
메뚜기를 본 적은 있지만 ‘메뚜기떼’정도는 아니었다. 아프리카 사막에 서식하는 메뚜기들이 ‘식물에 다닥다닥 붙어 있어 사막에 노란 꽃이 핀 듯하다’라는 표현을 쓴 저자의 글을 보고 과연 메뚜기떼가 꽃처럼 보일 수 있을까하는 의문이 들기도 했다. 메뚜기를 연구하며 점점 모리타니의 사막에 적응하기 시작한 곤충학자는 메뚜기 연구에 집중하기도 하지만 매일 메뚜기떼가 사막에 나타나지 않는다. 메뚜기떼가 나타나지 않을 시기엔 함께 연구를 했던 프랑스 곤충학자와 만남과 연구를 겸사겸사 프랑스를 방문하게 된다. 남프랑스의 몽펠리에는 유명한 곤충학자 파브르가 학위를 받은 곳으로 파브르의 성지였다. 많은 곤충학자들이 그렇듯 저자 역시 어렸을 때 파브르의 책을 읽고 곤충학자가 되었고, 어른이 되고 파르브를 만났을 땐 자신의 책을 출판하고 싶게 했다. 아마 그래서 이 책<메뚜기를 잡으러 아프리카로>라는 책을 우리가 지금 읽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메뚜기를 잡으러 아프리카로>를 읽으면 괴짜 곤충학자의 엉뚱한 표지 사진과 내용이 전혀 맞지 않다는 것을 금방 깨닫게 된다. 곤충학자의 이야기는 진지하고 재미난 곤충의 연구 이야기들이 있기 때문이다. 저자 곤충학자의 메뚜기 연구에 대한 노력을 옆에서 본 모리타니 사람들은 저자에게 최고의 경의를 표하는 미들네임 '울드'를 하사하기도 한다. 이런 것들만 보아도 곤충학자가 얼마나 애정을 가지고 메뚜기를 연구했는지 알 수 있다. 어쩌면 세상 사람들은 메뚜기 연구에 큰 관심이 없을 수도 있다. 쉽게 말해 돈이 되지 않는 곤충 연구가 무슨 큰이익을 창출할 수 있을까 싶다. 하지만 지구상에서 메뚜기가 없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꿀벌이 없어진다면 자연 생태계가 파괴될 수도 있다고 하는데 메뚜기 역시 그럴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곤충학자들이 있기에 자연 생태계도 쉽게 파괴되지 않고 있는 것을 아니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