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장의 원칙 - 최고의 기업에서 배우는 인재경영 전략
신현만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꼭 큰 기업의 사장은 아니더라도 자신의 사업체를 가지고 있는 사장이라면 사업을 성공으로 이끈 비결이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그 비결이 궁금할 것인데 <사장의 원칙>은 그런 사장님들의 비결같은 원칙을 알려준다. 한 회사의 사장이라고 하면 가장 중요하고 잘 해야 하는 것이 '인재경영'이 아닐까 싶다. <사장의 원칙> 1장에는 100조 기업을 일군 사장들의 인재경영 기법에 대해 알 수 있다. '넷플릭스'는 스트리밍 미디어, dvd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의 다국적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알려져 있고 외국에서는 유료 회원을 기반으로 동영상을 제공하는 세계 최고의 스트리밍 서비스이다. 이 '넷플릭스'는 우리나라에도 상륙했고 자체 드라마를 제작해 유료 회원들에게 영상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런 넷플릭스가 연3배의 성장을 한 비결이 있다. 넷플릭스는 역량이 뛰어난 인재만을 채용하고 보유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고 이런 직원들에게 회사는 최대한 보상하는 정책을 펼친다고 한다. 회사를 우수한 인재로 채우는 것은 보상과 복지 수준을 높이고 근무 환경을 개선하는 것 못지않게 직원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회사 생활의 만족도를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직원들이 우수한 동료들과 함께 일안하는 자부심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구글 역시 직원 한 명을 뽑는데 엄청난 시간을 투자한다고 한다. 그래도 적임자가 나타날 때까지 공석으로 두고 직원을 찾는데 이런 면접으로 직원 해고의 비율이 현저히 낮다고 한다.
<사장의 원칙> 3장에서는 기업가치 100배 키우는 조직문화에 대해 알 수 있다. 글로벌 기업은 다양한 부문 책임자를 두는데 이는 다양한 인재들을 영입하지 않으면 변화에 대처하는 능력이 떨어져 결국 도태될 위기에 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느 조사에 따르면 기업의 87%가 스톨에 한 번 이상 빠지게 되는데 스톨 현상은 항공기가 서서히 속력을 잃고 항공기 중량을 지탱할 정도의 뜨는 힘이 부족해서 추학하는 것을 말한다고 한다. 기업 규모가 크고 거대 기업에 가까워질수록 스톨 현상을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스톨의 원인은 대부분이 기업 내부에 있다는 것이다. 기술 혁신 실패, 구조적 문제, 인재 부족, 새로운 시장에 대한 대책 부족 등이다. 기본적으로 성장 정체를 벗어나는 지름길은 임직원들의 총체적 역량을 끌어올리는 것이라도 한다. <사정의 원칙>에서 말하는 성공의 비결은 인재경영이라고 한다. 사람이 가장 중요한 자원이고 그런 자원을 잘 관리하는 것이 사장의 힘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