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치지 않는 뇌 휴식법 - 피로에 지친 당신을 위한 하루 5분, 최고의 휴식
이시카와 요시키 지음, 장지연 옮김 / 한솔아카데미 / 2018년 8월
평점 :
예전엔 그러지 않았던 것 같은데 스마트폰이 점점 생필품이 되면서 꼭 잠들기 전에 스마트폰을 확인하는 습관이 생겼다. 그런데 아무리 확인하면서 본다고 해도 스마트폰을 보다보면 10분 20분의 시간이 훌쩍 흐르는 것은 예사일이 되어 버렸다. 스마트폰이 숙면을 방해하는 최대의 적이라고 하는데 숙면을 취하지 못하게 되면서 쉽고 빠르게 피로해지고 일상이 피곤해진다. 그래서 그 피곤을 풀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해 보았지만 제일 효과적인 것은 명상을 하듯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앉아 있는 것이었다. 이는 일종이 명상법이라고 생각하는데 아무일도 하지 않고 뇌를 쉬게하는 것이 가장 좋은 스트레스 해소법인 것이다. <지치지 않는 뇌 휴식법>을 읽다보니 6시간의 수면과 7시간의 수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적당한 수면은 일상생활에 필수로 알고 있는데 1시간의 수면 시간에 많은 것이 차이는 집중을 방해한다. 6시간 수면이 계속되면 수면 부족이 심해지고 술을 마시고 약간 취한 상태와 비슷한 수준의 인지 기능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휴식', '쉼'이라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게다가 수면 부족에 빠지면 대사 기능은 저하되고 식욕은 높아지는데 이는 곧 비만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이렇게 점점 자신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것이다.
명상은 어렵지 않다. 보기에도 쉽게 보이는데 또 어렵다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이는 명상의 기본을 잘 따르지 않기 때문에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 아닐까? <지치지 않는 뇌 휴식법>에서의 명상은 자세-호흡-마음 집중 관찰의 세 가지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고 제안한다. 이중 가장 어려운 것이 바로 마음 집중이라고 하는데 집중을 잘 할 수 없다면 집중 명상 방법을 추천한다. 호흡에 의식을 집중하고 확산 사고를 억제한다. 확산 사고가 생긴다면 이를 곧바로 인식하고 천천히 호흡으로 의식을 집중시키는 연습을 해야 한다. 이렇게 반복하다보면 집중을 잘하고 명상을 잘 할 수 있게 된다. <지치지 않는 뇌 휴식법>에는 하루 5분을 투자한 명상법을 알려주고 시간 관리법이나 업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세법, 혈당 관리를 위한 방법, 지치지 않는 뇌를 만들기 위한 생활법 등도 알려준다. 명상을 시작으로 생활의 많은 것을 변화시킬 수 있고 바뀔 수 있다.